당뇨병 가족력과 무증상 죽상동맥경화증의 위험

  • 등록 2016.08.25 12:13:11
크게보기

Family history of diabetes and the risk of subclinical atherosclerosis
Park GM, et al. Diabetes Metab. 2016 Jun;42(3):170-7

Purpose
당뇨병 가족력이 무증상 죽상동맥경화증의 위험에 미치는 영향을 무증상 참가자를 대상으로 관상동맥 CT 혈관조영술(CCTA)로 조사하였다.

Methods
관상동맥질환의 병력이 없는 무증상 참가자 6434명을 대상으로 CCTA를 실시하여 관상동맥죽상경화 플라크와 중증의 관상동맥협착(협착 정도 ≥50 %)를 평가하였다. 당뇨병 가족력과 죽상동맥경화 플라크 또는 중증 관상동맥협착의 상관관계를 로지스틱 회기분석을 사용하여 당뇨병의 정도에 따라(정상, 당뇨병 전기, 당뇨병) 평가하였다. 

Results
연구 참가자의 평균 연령은 53.7±7.6세, 4694명(73.0 %)이 남자였다.  1593명(24.8 %)은 부모, 형제(first degree relative) 중에 당뇨병 가족력을 가지고 있었다. 1115명(17.3 %)은 당뇨병, 3122명(48.5%)은 당뇨병 전기, 2197명(34.1%)은 정상 범위로 분류되었다. 
당뇨병 참가자들에 있어 당뇨병 가족력은 비석회화된 플라크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모두 p<0.005). 그러나 석회화 플라트나 혼합 플라크, 중증 관상동맥협착과는 상관관계를 나타내지 않았다(모두 p<0.05). 당뇨병 전기 및 정상의 참가자들에서 당뇨병 가족력은 죽상동맥경화 플라크나 중증 관상동맥협착과 상관관계가 없었다.  

Conclusion
무증상 당뇨병 참가자에서 당뇨병 가족력은 위험인자 조정 후 비석회화된 관상동맥 플라크와 상관관계가 있다. 
키닥터 기자 pgjin5461@daum.net
Copyright @2014 키닥터 Corp. All rights reserved.

(주)키닥터 | 경기도 하남시 조정대로 42-20 (풍산동 218-79) 2층 202-1호 등록번호 : 경기,아53739 | 등록연월일 : 2014.12. 08 | 발행인 : 진필곤 | 편집인 : 진필곤 전화번호 : 02-6959-6919 | 이메일 : keydr@keydr.kr Copyright ©2014 키닥터.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