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자살예방의 날 “실천을 통한 희망 만들기”
우울감, 자살생각 물어보기 캠페인을 벌이자!
대한우울자살예방학회(회장 홍승봉, 삼성서울병원 신경과)는 세계 자살예방의 날을 맞이하여 국제자살예방협회의 “실천을 통한 희망 만들기” 캠페인에 동참하기로 했다. 한국의 자살률은 지난 18년 동안 OECD 1위이고, 자살은 10대, 20대, 30대의 사망원인 1위이며 40대, 50대의 사망원인 2위이다. 다음은 전 세계의 자살 통계이다.
“전 세계에서 1년에 약 1,400만 명이 자살을 시도하고, 70만 명이 자살로 생명을 잃는다. 자살로 사망한 남자의 수는 여자의 두 배이다. 자살의 58%는 50세 이전에 발생한다. 우울증이 있으면 자살로 사망할 가능성이 20배 높다.” 전 세계 연평균 자살 수는 1억 명당 9,000명인데 한국은 인구 5천2백만 명에 13,200명으로 세계 평균의 2.8배나 되고, 하루에 36명이 자살로 생명을 잃는다. 이것이 우리나라 전 국민이 자살예방의 파수꾼이 되어야 하는 이유이다. 매년 수백만 명이 가족, 친구, 동료, 유명인의 자살로 인하여 깊은 슬픔을 느끼고 굉장히 큰 영향을 받기 때문에 자살은 공공의료적 문제이다. “실천을 통한 희망 만들기 Creating hope through action”는 2021-2023년 3년 동안 세계자살예방협회의 캠페인 주제이다. 이 캠페인은 자살에 대한 대안이 있음을 상기시키고 우리 모두에게 자신감과 희망을 고취시키는 것을 목표로 한다.
“실천을 통한 희망 만들기” 캠페인으로 우리는 자살 충동을 느끼는 사람들에게 희망이 있고 그들을 돌보고 지원하고 싶다는 신호를 보낼 수 있다. “요즘 잘 지내시나요, 괜찮습니까? 나에게 하고 싶은 말이 있습니까? 혹시 자살생각 또는 당신의 인생을 끝내기로 마음먹고 있나요?” 식으로 주변 사람들에게 물어보는 것이 자살 예방의 시작이다.
다음은 “실천을 통한 희망 만들기” 캠페인의 내용이다.
1) 시간을 내서 연락하기: 가족, 친구, 동료에게 시간을 내서 연락한다. 당신은 그들에게 무엇을 한다거나 해결책을 꼭 말할 필요가 없다. 그들의 고통과 자살생각을 들어주기만 해도 큰 도움이 된다. 짧은 대화도 고통을 겪는 사람의 생명을 구할 수 있고 유대감과 희망을 심어줄 수 있다.
2) 당신 주변에 적응하지 못하는 사람들을 있는지 잘 살핀다.
3) 당신이 그들의 모든 문제를 해결할 필요는 없다. 당신의 공감, 연민, 진정한 관심과 돕고자 하는 마음이 비극을 예방하는 열쇠이다.
4) 누군가에게 자살하려는 마음이 있는지 물어보는 것을 두려워하지 않는다: 비판하지 않으면서 연민과 공감으로 그들의 말을 들어주면 희망을 회복시킬 수 있다. 이 작은 행동의 효과는 오래 지속된다.
5) 자살을 예방하기 위하여는 당신이 고통을 받는 사람들에게 빛의 등대가 되어주어야 한다.
다음은 자살을 예방하기 위하여 실천해야할 5가지 행동들이다.
다음의 ‘자살 경고 사인’들을 숙지한다.
1) 자신이나 타인을 헤치고 싶다고 말한다.
2) 자살에 대한 온라인 검색 또는 총 구매와 같이 자살 방법을 찾고 있다.
3) 희망이 없거나 살 이유가 없다는 말한다.
4) 주변을 정리하고 마지막 인사를 한다(그동안 고마웠습니다 등).
5) 갇힌 느낌이나 참을 수 없는 고통에 대해 이야기한다.
6) 자신이 남에게 짐이 된다고 말한다.
7) 음주, 약물 사용이 증가한다.
8) 불안하거나 동요하는 행동을 보인다; 무모하게 행동
9) 피하고 사람을 만나려 하지 않음
10) 화를 내거나 복수하려는 이야기를 한다.
11) 감정의 변화가 매우 심해진다.
12) 불면증이 심하거나 잠을 너무 많이 잔다.
자살 생각이 날 때 다음의 대처 방법들을 배운다.
1) 주변에 위험한 물건을 치우고, 가족, 가까운 친구와 함께 지낸다. 혼자 지내지
않는다.
2) 가족, 친구, 선생님에게 당신의 자살 생각을 말한다.
3) 자살예방 전화에 연락하여 상담을 한다.
4) 정신건강복지센터, 정신건강의학과 또는 임상심리사를 방문한다.
5) 다른 사람들의 희망과 회복 스토리를 읽는다.
6) 자살 충동을 관리하기 위한 안전한 대처 기술을 연습한다.
: 좋아하던 활동을 다시 하기, 소설 읽기, 친구 만나기, 산책하기 등
7) 안전 계획(safety plan)을 세운다.
(1) 자살 경고 사인: 나의 자살 경고 사인 리스트를 만든다.
(2) 자살 대처 방법: 자살 생각이 날 때 내가 대처할 수 있는 방법들의
목록을 만든다.
(3) 자살생각에서 벗어나게 하는 것: 힘들 때 나를 편하게 하는 사람과 장소의
리스트를 만든다.
(4) 지원군 리스트 만들기: 자살생각이 날 때 대화를 하고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사람들의 이름과 전화번호 리스트를 만든다.
(5) 전문가 리스트 만들기: 자살생각에 대하여 전문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의사,
심리사의 이름과 전화번호 리스트를 만든다.
(6) 안전한 환경 만들기: 위험한 도구 치우기, 안전한 곳에 살기 등
자살생각을 하는 사람에게 물어보아야 하는 질문
1) 자살(자기를 헤칠, 목숨을 버릴) 생각을 한 적이 있습니까?
2) 너무 기분이 나빠서 자살을 생각한 적이 있습니까?
3) 자살 또는 스스로 목숨을 끊을 계획이 있습니까?
4) 언제 (오늘, 내일, 다음 주) 할 것인지 생각했습니까?
5) 어떤 방법을 사용할지 생각해 보셨나요?
자살생각을 하는 사람을 만났을 때 해야 할 행동 (친절과 보살핌으로 대한다)
1) 놀라지 말고 침착하게 있어라
2) 그 사람과 함께 있어라
3) 날카로운 물건이나 치명적인 도구를 제거한다.
4) 그들이 고통스럽고 그들의 고통이 실제임을 인정하고 공감한다.
5) 그 사람을 자살예방 전화에 직접 연결해 준다.
6) 가능하면 24-48시간 내에 다시 연락하거나 만나서 괜찮은지 확인한다.
죽으려고 하는 사람에게 절대로 해서는 안 되는 말
1) 너 자살하려는 것 아니지. 그런 어리석은 행동하지 마.
2) 좋아, 네가 그렇게 이기적이고 죽고 싶으면 마음대로 해.
3) 네가 잘 못 생각하는 거야. 자살생각을 당장 중단해.
4) 정신력이 그렇게 약해서 어떡하니. 정신 차려.
5) 걱정하지 마, 다른 사람에게 말하지 않고 비밀을 지켜줄게.
* 자살 또는 타인을 헤칠 생각이 날 때 도움을 받을 수 있는 곳
=> 자살예방 핫라인 1577-0199, 자살예방 상담전화 1393, 희망의 전화 129,
생명의 전화 1588-9191, 청소년 전화 13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