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락비®, NTRK 유전자 융합 종양 환자 대상 최신 통합 분석 통해 폐암 등 다양한 암종에서 장기간 반응과 안전성 프로파일 확인

  • 등록 2022.09.16 10:38:04
크게보기

비트락비®, NTRK 유전자 융합 종양 환자 대상 최신 통합 분석 통해

폐암 등 다양한 암종에서 장기간 반응과 안전성 프로파일 확인

 

·       유럽종양학회(ESMO) 세계폐암학회(WCLC) 연례회의에서 발표된 NTRK 유전자 융합 종양 환자 대상 통합 분석 최신 업데이트를 통해 비트락비® 지속적인 효과와 안전성 프로파일 재확인

·       환자 식별과 개별화된 치료 계획을 위한 포괄적 유전자 검사와 정밀 종양학적 접근(precision oncology approach) 필요성 증명

 

(2022-09-16, 서울) 바이엘은 자사의 TRK 억제제 비트락비® (성분명: 라로트렉티닙) 4가지 확장 연구에 대한 최신 결과를 2022 유럽종양학회(ESMO, 9/9~9/13) 세계폐암학회(WCLC, 8/6~9) 연례회의에서 발표했으며, 이를 통해 폐암을 포함한 다양한 NTRK 유전자 융합 종양에서 비트락비® 지속적이고 일관된 효과와 안전성 프로파일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START(South Texas Accelerated Research Therapeutics) 임상연구소장을 맡고 있는 스페인 마드리드 히메네스 디아스 대학병원의 빅토르 모레노(Victor Moreno) 박사는이번 결과는 NTRK 유전자 융합 양성인 성인 폐암환자에서 비트락비® 강력하고 지속적인 임상적 유용성을 거듭 입증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지금까지 비트락비® 보여준 장기간의 임상적 유용성과 긍정적인 안전성 프로파일은, 비트락비® 같은 정밀 항암제(precision oncology medicines) 적합한 환자를 식별하고 개별화된 치료 계획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포괄적인 유전자 검사가 매우 중요한 선행 조건임을 말해준다 강조했다.

 

이번 비트락비® 최신 업데이트에는 ▲NTRK 유전자 융합 진행성 폐암 환자 대상 확장 연구, ▲NTRK 유전자 융합 종양 성인 소아 환자 대상 연장 연구, ▲NTRK 유전자 융합 침샘종양(SGT) 성인 환자 대상 통합 분석, ▲NTRK 유전자 융합 종양 환자 대상 임상시험 환자군 성장조절지수(GMI) 비교 분석 연구 등이 포함됐다.

 

 

NTRK 유전자 융합 폐암 환자 대상 통합 분석의 확장 연구 (Extended Follow-up of Efficacy and Safety of Larotrectinib in Patients with TRK Fusion Lung Cancer) [i]

 

NTRK 유전자 융합 진행성 폐암 환자 대상 확장 연구 결과, 추적 기간 환자 데이터가 추가되었음에도 비트락비® 일관된 종양 반응을 확인했다. 이번 분석은 이전에 3가지(중앙값) 치료를 받은 NTRK 유전자 융합 성인 폐암 환자 20명에 대한 통합 분석을 1 연장 추적 관찰한 결과로, 중추신경계(CNS) 전이 환자가 포함되었다(Data cut-off: 2021 7). 독립평가위원회(Independent Review Committee, IRC) 검토가 가능한 15명의 환자에서 나타난 비트락비® 객관적 반응률(ORR, objective response rate) 87%, 이전 통합 분석 결과와 동일했다. 추적 기간 중앙값 24개월 시점에서 반응지속기간 중앙값(mDoR, median duration of response) 도달하지 않았다. 추적 기간 중앙값 35.8개월 시점에서 무진행생존기간 중앙값(mPFS, media progression-free survival) 33개월, 전체생존기간 중앙값(mOS, media overall survival) 40.7개월이었다.

 

데이터 확정 시점(data cut-off)에서 이전에 2가지(중앙값) 전신 치료를 받은 6명의 성인 환자가 추가되어 26명의 환자 데이터가 분석되었다. IRC 평가가 가능한 23명의 환자에서 나타난 비트락비® ORR 2명의 완전반응(CR, complete response), 17명의 부분반응(PR, partial response) 포함해 83%(95% CI 61–95)이었고, 나머지 4명도 안정병변(SD, stable disease) 보였다. 추적 기간 중앙값 12.9개월 시점에서 나타난 mOS 40.7개월이었으며, DoR PFS 중앙값에 도달하지 못했다. CNS 전이가 동반된 10명의 환자에서 나타난 ORR 80%(95% CI 44–97), 전체 환자와 유사한 수준이었다.

 

안전성 프로파일 역시 이전 연구와 일관된 결과를 보여주었다. 보고된 치료관련 이상반응(TRAEs, treatment-related adverse events) 대부분 1-2등급으로 5명의 환자에서 3또는 4등급이 나타났으며, 이로 인한 치료 중단은 사례는 없었다. 해당 연구는 비트락비® 2 임상시험(NCT02576431, NCT02122913) 등록된 환자 데이터를 기반으로 했다.

 

 

NTRK 유전자 융합 종양 환자 대상 통합 분석의 연장 연구 (Efficacy and Safety of Larotrectinib in a Pooled Analysis of Patients with TRK Fusion Cancer with an Extended Follow-Up) [ii]

 

비원발성 중추신경계비원발성 중추신경계(non-primary CNS) NTRK 유전자 융합 종양 성인 소아 환자 164명을 대상으로 진행된 통합 분석 결과, 비트락비® 추적 관찰 기간이 연장되었음에도(Data cut-off: 2021 7) 연구 기간 동안 지속적인 효과를 보여주었다. 추적 기간 중앙값 34.1개월 시점에서 비트락비® mDoR 34.5개월(95% CI 27.6%-43.3)이었다. 추적 기간 중앙값 35.8개월 시점에서mPFS 32.0개월(95% CI 23.4-40.2) 달했다. 추적 기간 중앙값 38.0개월 시점에서mOS 도달하지 않았으며, 48개월 시점의 전체생존율은 66%(95% CI 57-75)이었다. 이러한 결과는CR 30% 포함해, 최대 74%(95% CI 67-81)ORR 확인되었던 비트락비® 이전 통합 분석 결과와 상응한다.

 

마찬가지로 비트락비® 이전 분석과 일관된 안전성 프로파일을 나타냈다. 연구에서 나타난 치료 관련 이상반응(TRAEs) 주로 1~2등급이었으며, 32(20%) 환자에서 3 또는 4등급의 TRAEs 나타났다. 해당 연구는 비트락비® 3 임상시험(NCT02122913, NCT02637687, NCT02576431) 등록된 환자들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이루어졌다.

 

 

NTRK 유전자 융합 침샘 종양(SGT) 성인 환자의 통합 분석 (Updated Efficacy and Safety of Larotrectinib in Patients with TRK Fusion Salivary Gland Tumours)[iii]

 

NTRK 유전자 융합 침샘 종양 (SGTs, salivary gland tumors) 환자에서 비트락비® 즉각적이고 지속적인 효과를 보여주었다. 비트락비®2 임상시험(NCT02122913, NCT02576431) 포함된 NTRK 유전자 융합 침샘 종양 성인 환자 25명에 대한 통합 분석 결과(Data cut-off: 2021 7, 1 간의 연장 추적 관찰 환자 24 포함), 비트락비® 치료군의 ORR 84%(95% CI 64-95), CR 32%(n=8) 이었다. 반응시간 중앙값(mTTR, median time to response) 1.8개월, 추적 기간 중앙값 39.6개월 시점에서 mDoR 미도달 상태였다. 36개월 시점의 전체생존율(OS) 82%, 추적 기간 중앙값 41.3개월 시점에서 mPFS 56.0개월(95% CI 30.8-NE)이었다.

 

연구에서 나타난 비트락비® 치료 관련 이상반응(TRAEs) 대부분 1~2등급이었다. 6명의 환자(24%)에서 3등급의 TRAE 보고되었으나 이로 인한 치료 중단은 없었다.

 

 

NTRK 유전자 융합 종양 환자 대상 임상시험 환자군 성장조절지수(GMI) 비교 분석 연구 (Intra-Patient Comparison From Larotrectinib Clinical Trials in TRK Fusion Cancer – an Expanded Dataset)[iv]

 

이전에 1 이상의 치료를 받은 비원발성 CNS(non-primary CNS) NTRK 유전자 융합 종양 환자에서 비트락비® 효과를 평가한 성장조절지수(GMI, growth modulation index) 분석에 대한 최신 확장 연구도 발표되었다. GMI 분석이란 환자 스스로를 비교군으로 설정하여 현재 치료법의 PFS 직전 치료법의 질병 진행 또는 치료 실패까지의 시간(TTP, time to progression) 비교하는 후향적 환자군 (Intra-Patient) 비교 연구다. 유의미한 임상 활동의 임계값을 GMI 1.33 이상으로 정의했을 , 연장된 추적 기간에도 비트락비® 치료 환자 140 75% 이전에 받은 치료 횟수와 관계없이 1.33 이상의 GMI 나타냈다. 추가 환자 데이터를 포함한 176명의 확장 데이터셋 분석 결과에서도 70% 환자가 1.33 이상의 GMI 나타냈다. 해당 연구는 비트락비® 3 임상시험(NCT02122913, NCT02637687, NCT02576431) 등록된 환자들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이루어졌다.

 

 

# # #

 

 

 

 

비트락비® (VITRAKVI) 대하여

비트락비®(라로트렉티닙) NTRK 유전자 융합을 보유한 고형암 환자들의 치료를 위한 최초의 경구용 선택적 트로포미오신 수용체 키나제(이하 TRK) 억제제다. 비트락비® 중추신경계(CNS) 종양에서 높은 질병 통제율을 보였으며, TRK 유전자 융합 종양을 앓고 있는 성인 소아 환자에서 4 높은 반응률과 지속적인 반응을 나타냈다. 비트락비® TRK 억제제로서 최다 데이터셋과 최장 연구 데이터를 보유하고 있다. 비트락비® 대한 연구는 계속해서 진행되고 있는 상황으로, 2022년도 미국임상종양학회(ASCO) 연례회의에서 최신 데이터셋 발표 이후 이어지는 학술대회에서 업데이트 되고 있다.

 

비트락비® 알려진 획득 내성 돌연변이가 없는 NTRK 유전자 융합을 보유한 성인 1개월 이상 소아 환자 국소진행성, 전이성 또는 수술적 절제 중증 이환의 가능성이 높으며 기존 치료제(혹은 치료 요법) 이후 진행됐거나 현재 이용가능한 적합한 치료제가 없는 고형암 환자의 치료에 사용되도록 국내


[i] Moreno, et al. Extended Follow-up of Efficacy and Safety of Larotrectinib in Patients With TRK Fusion Lung Cancer [abstract]. In: WCLC Meeting Library: WCLC; 2022. Poster 980.

[ii] McDermott, et al. Efficacy and Safety of Larotrectinib in a Pooled Analysis of Patients (Pts) With Tropomyosin Receptor Kinase (TRK) Fusion Cancer With an Extended Follow-Up [abstract]. In: ESMO Meeting Library: ESMO; 2022. Poster 463P.

[iii] Hong, et al. Updated efficacy and safety of Larotrectinib in patients with TRK fusion salivary gland tumours [abstract]. In: ESMO Meeting Library: ESMO; 2022. Poster 667P.

[iv] Italiano, et al. Intra-Patient (Pt) Comparison From Larotrectinib (Laro) Clincial Trials in Tropomyosin Receptor Kinase (TRK) Fusion Cancer – an Expanded Dataset [abstract]. In: ESMO Meeting Library: ESMO; 2022. Poster 464P.

관리자 기자 pgjin5461@daum.net
Copyright @2014 키닥터 Corp. All rights reserved.

(주)키닥터 | 경기도 하남시 조정대로 42-20 (풍산동 218-79) 2층 202-1호 등록번호 : 경기,아53739 | 등록연월일 : 2014.12. 08 | 발행인 : 진필곤 | 편집인 : 진필곤 전화번호 : 02-6959-6919 | 이메일 : keydr@keydr.kr Copyright ©2014 키닥터.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