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의료개혁 2차 실행방안에 대한 대한병원장협의회 성명서

  • 등록 2025.03.21 09:52:30
크게보기


정부의 의료개혁 2차 실행방안에 대한 대한병원장협의회 성명서


보건복지부는 지난 3월 19일 지역·필수의료 강화를 위한 의료개혁 2차 실행방안을 발표하였다의사는 환자를 치료하고 관()은 국민들의 건강을 위해 의료 접근성을 개선하고 좋은 치료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정책을 조율하여야 한다복지부가 2차 실행방안을 발표한 후 언론이 사용하는 가장 많은 타이틀은 실손보험 자기부담율 95%로 인상이라는 자극적인 문구로 이번 발표의 문제를 극명하게 보여준다.

이번 2차 실행 방안은 마치 화려한 수사로 국민들을 현혹하는 정치인의 입처럼 온갖 미사여구를 가져다부쳤지만 공약이 공약으로 그치는 정치인의 말 그 이상은 아닌 것처럼 다가온다지역특히 군면단위 지방병원의 필수의료가 취약한 이유는 의료진과 시설이 부족하기도 하지만인력과 시설을 유지할 만한 인구수요가 부족하다는 것이 가장 근본적인 이유이다그러므로 정부의 지속가능한 형태의 직접적인 지원이 없다면 이번 2차 실행방안은 실현될 수 없다.

이번 발표를 통해 필수의료 강화를 강조하고 있지만 최근 몇 년간의 토론을 통해 필수의료에 대한 합의가 아직 부족하다는 점을 간과하고 있는 것 같다·뇌혈관 질환분만소아암성질환화상수지절단 등이 필수의료의 지원 대상이라면거창하게 포장된 정책에 비해 대상이 되는 의료 기관은 최상위 일부만 포함되어 대부분의 중소 2차병원은 소외될 것이다특히 실제 지역 의료의 핵심 역할을 하는 소외 지역의 의료는 정부 지원을 받는 독점적 의료기관 만이 생존하여 접근성이 떨어지고 말살될 것이다.

복지부는 이번 발표를 통해 공정 보상 확립을 위한 비급여 적정 관리 및 실손보험의 합리적 개선을 언급했지만공정 보상 확립을 위해 필요한 것은 진료비 정상화이지 비급여 관리나 실손 보험 개선이 아니다지역·필수의료 강화를 위한 의료개혁에 대기업의 이익을 대변하는 실손보험 자기 부담률 인상이 적당한 것인지 되돌아보아야 한다이는 비급여 관리와 실손보험 개선을 위해 지역·필수의료 강화를 위한 의료개혁이라는 프로파간다를 이용한 것이나 다름없다.

복지부는 이번 발표를 통해 의료사고 안전망을 구축하겠다고 한다진료 후 발생하는 악결과는 환자나 의사 모두에게 불행한 일이다그 악결과가 사고인지 아닌지분쟁으로 가야하는지 아닌지는 판단이 필요하지만어느 악결과에서도 고의성은 존재하지 않는다고의성이 조각되는 의료 사고에 대해 복지부는 이번 발표에서도 여전히 면책에 대한 의지를 보이지 않고 오히려 절차만 더 복잡하게 만들고 있다.

2024년 8월 복지부는 1차 실행방안을 마련하였지만 2025년 3월 현재 전공의와 학생들은 돌아오지 않고 있으며상급 종합 병원의 구조 전환은 지지부진하고필수의료 수가의 현실화 소식은 요원하기만 하다정부는 발표이전에 의료계와 협의하여 보다 깊은 숙고를 했어야 한다지금이라도 정책의 효율성이나 현실성에 대한 심도 깊은 토론을 통해 합의를 얻을 때까지 실행을 미뤄야 한다실행 방안은 정말 화려하게 꾸며져 있지만 국민들에게 보여지는 것은 실손보험 자기부담율 95%로 인상이라는 폐부를 찌르는 문구일 것이다그것이 진의가 아니라는 정부와 복지부의 의지를 보여주어야 한다말이 아닌 행동으로...

2025. 3. 20

대한병원장협의회

진필곤 기자 pgjin5461@naver.com
Copyright @2014 키닥터 Corp. All rights reserved.

(주)키닥터 | 경기도 하남시 조정대로 42-20 (풍산동 218-79) 2층 202-1호 등록번호 : 경기,아53739 | 등록연월일 : 2014.12. 08 | 발행인 : 진필곤 | 편집인 : 진필곤 전화번호 : 02-6959-6919 | 이메일 : keydr@keydr.kr Copyright ©2014 키닥터.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