챔픽스(바레니클린), 신경정신과적 안전성 관련 대규모 메타분석 결과 확인

  • 등록 2015.04.08 17:58:58
크게보기

영국의학저널(BMJ) 게재 연구 결과 위약 대비 자살, 우울증 및 사망 위험 증가가 나타나지 않아

    지난 미국 제품설명서에 새롭게 포함된 기존 메타분석 연구 결과와 유사

 

한국화이자제약(대표이사 사장 이동수, www.pfizer.co.kr) 금연치료 보조제 챔픽스(성분명: 바레니클린)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메타분석[i] 통해 신경정신과적 안전성을 살펴본 결과 챔픽스 복용 위약 대비 자살, 우울증 사망 위험 발생의 증가가 나타나지 않았다고 밝혔다. 이번 체계적 문헌고찰 메타분석 결과는 영국의학저널(British Medical Journal, BMJ) 지난 3 12 게재됐다.

 

영국 브리스톨 대학 카일라 토마스(Kyla Thomas) 교수 연구팀은 챔픽스의 신경정신과적 안전성을 살펴보기 위해 39 연구에서 챔픽스 1mg 1 2 복용군 5,817 위약 복용군 4,944 10,761명을 대상으로 체계적 문헌고찰 메타분석을 실시했다.

 

연구 결과 챔픽스 투여군이 위약 투여군 대비 자살 또는 자살 시도, 자살 관념, 우울증 사망 위험의 발생을 증가시키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이와 함께 자살 우울증 등의 증상은 , 연령, 인종, 흡연율 정신적 질환 여부와의 상관관계도 나타나지 않았다. 이외 챔픽스 복용군에서 불안증 위험은 25%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체계적 문헌 고찰 메타분석 결과는 화이자가 여러 건의 무작위 대조 임상시험을 메타분석한 기존 연구 결과와 유사하게 나타났다[ii]. 지난 9 미국 식품의약국(FDA, U.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화이자의 메타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챈틱스(Chantix, 미국 챔픽스 브랜드명) 제품 설명서에 신경정신과적 안전성 프로파일을 업데이트했다.

 

한국화이자제약 의학부 이원식 부사장은 이번에 발표된 체계적 문헌고찰 메타분석 결과는 지금까지 챔픽스의 신경정신과적 안전성을 살펴본 연구 가장 규모라고 설명하며 대규모 분석을 통해 챔픽스가 신경정신과적 위험과 상관관계가 입증되지 않은 만큼, 금연을 시도하는 흡연자 의료진이 앞으로 챔픽스를 효과적인 금연치료의 보조 목적으로 사용할 있기를 바란다 말했다.

 

챔픽스(바레니클린) 의료진의 진단과 처방이 필요한 전문의약품으로, 여러 건의 임상연구 결과 12 기준 금연 성공률이 40~50%%[iii],[iv],[v],[vi] 니코틴 대체제 부프로피온 다른 금연치료 옵션 대비 높은 금연치료 보조 효과를 입증했다. 특히, 한국인 대만인을 대상으로 임상연구에서는 12 금연성공률이 60%[vii] 높게 나타났으며, 52 장기 금연 지속률 데이터도2, 4 확보하고 있다. 밖에도 심혈관계질환[viii], COPD[ix] 아니라 신경정신과 동반질환을 보유하고 있는 흡연자들[x],[xi],[xii] 대한 다양한 임상 연구를 통해 챔픽스의 금연치료 보조제로서의 유효성과 안전성 프로파일을 강화해왔다.

 

# # #



[i] Kyla H Thomas, et al. Risk of neuropsychiatric adverse events associated with varenicline: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BMJ 2015;350:h1109)

[ii] Pfizer Laboratories Div Pfizer Inc. CHANTIX® (varenicline) Prescribing Information

[iii] Gonzales D, et al. Varenicline, α4β2 Nicotonic Acetylcholine receptor partial agonist, vs. sustained-release Bupropion and placebo for smoking cessation: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JAMA July 5, 2006, Vol 296, No 1)

[iv] Aubin H-J et al. Varenicline versus transdermal nicotine patch for smoking cessation; results from a randomized open-label trial (Thorax, 2008;63:717-724)

[v] Douglas E, et al. Efficacy of Varenicline, an α4β2 Nicotonic Acetylcholine receptor partial agonist, vs. placebo or sustained-release Bupropion for smoking cessation (JAMA July 5, 2006, Vol 296, No. 1)

[vi] Nides M, et al. Varenicline versus bupropion SR or placebo for smoking cessation: a pooled analysis (Am J Health Behav 2008 Nov-Dec;32(6):664-75)

[vii] Tsai S, et al. A randomized, placebo-controlled trial of Varenicline, a selective α4β2 Nicotonic Acetylcholine receptor partial agonist, as a new therapy for smoking cessation in Asian smokers (Clinical Therapeutics 2007 Vol. 29, #6)

[viii] Rigotti N, et al. Efficacy and safety of Varenicline for smoking cessation in patients with cardiovascular disease: a randomized trial (Circulation. 2010 Jan 19;121(2):221-9)

[ix] Tashkin A, et al. Effects of Varenicline on smoking cessation in patients with mild to moderate COPD: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Chest 2011 Mar; 139(3):591-9)

[x] Gibbons R, et al. Varenicline, smoking cessation, and neuropsychiatric adverse events (AM J Psychiatry 2013;170:1460-1467)

[xi] Pasternak B, et al. Use of Varenicline versus Bupropion and risk of psychiatric adverse events (Addiction 108. 1336-1343)

[xii] Robert M. et al. Effect of Varenicline on Smoking Cessation in Adults with Stably Treated Current or Past Major Depression (Ann Intern Med. 2013; 159:390-400)

관리자 기자 pgjin5461@daum.net
Copyright @2014 키닥터 Corp. All rights reserved.

(주)키닥터 | 경기도 하남시 조정대로 42-20 (풍산동 218-79) 2층 202-1호 등록번호 : 경기,아53739 | 등록연월일 : 2014.12. 08 | 발행인 : 진필곤 | 편집인 : 진필곤 전화번호 : 02-6959-6919 | 이메일 : keydr@keydr.kr Copyright ©2014 키닥터.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