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챔픽스, 부프로피온 및 니코틴 패치, 위약 대비 금연성공률 유의하게 높고, 신경정신과적 이상반응 발생 유의하게 증가시키지 않는 것1으로 나타나
한국화이자제약(대표이사: 오동욱)은 5월 31일 챔픽스(성분명: 바레니클린)와 부프로피온, 니코틴 패치 및 위약을 비교 연구한 세계 최대 규모의 글로벌 임상인 EAGLES 결과를 발표하는 시간을 가졌다. EAGLES 연구결과에 따르면, 챔픽스와 부프로피온, 니코틴 패치 등 금연치료 보조요법은 위약 대비 높은 금연유지율을 나타냈으며, 정신질환이 있는 환자와 없는 환자 모두에서 챔픽스와 부프로피온은 위약이나 니코틴 패치 대비 신경정신과적 이상반응 위험을 유의하게 증가시키지 않는 것1으로 나타났다.
EAGLES는 전세계 16개국 8,058명의 흡연자를 대상으로 금연치료 가이드라인이 1차 치료 옵션으로 권고하고 있는 챔픽스(성분명: 바레니클린), 부프로피온의 금연치료효과와 신경정신과적 안전성을 니코틴 패치 및 위약과 비교한 임상시험1이다. 이는 현존하는 금연치료 보조요법을 직접 비교한 최초의 연구이자, 최대 규모의 글로벌 연구1로서 해당 결과는 지난 달 권위있는 의학저널인 란셋(the Lancet)지에 게재된 바 있다.
연구 결과, 챔픽스, 부프로피온, 니코틴 패치 등 모든 금연치료 보조요법은 위약 대비 높은 금연 유지율을 나타내 금연치료 보조요법의 효능이 다시 한 번 확인됐다. 금연치료 효능을 평가하기 위해 12주의 금연치료기간 중 마지막 4주(9~12주)의 금연유지율을 살펴본 결과, 정신질환이 있는 환자와 없는 환자 모두에서 금연치료 보조요법 중 챔픽스(33.5%)가 부프로피온(22.6%), 니코틴 패치(23.4%), 위약(12.5%)에 비해 가장 높은 금연유지율을 보였다1.
EAGLES의 1차 연구 목표는 금연치료의 신경정신과적 안전성에 대한 평가였다. 연구에서는 불안, 우울, 비정상적인 느낌 또는 적대감 중 최소 한가지가 중증 이상반응으로 발생하거나 초조함, 공격성, 망상, 환각, 살인 관념, 조증, 공황, 자살관념, 자살행동 또는 실제 자살 중 최소 한 가지의 중등증 혹은 중증의 이상반응 발생률을 살펴보았다. 연구에 따르면, 정신질환이 있는 환자군과 없는 환자군 모두에서 챔픽스와 부프로피온은 위약이나 니코틴 패치 대비 중등도·중증의 신경정신과적 이상반응률을 유의하게 증가시키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1.
EAGLES에 직접 참여한 캐나다 오타와 대학의 앤드류 파이프(Andrew Pipe) 교수는 “세계 최대 규모로 진행된 EAGLES를 통해 금연치료의 효능과 안전성 프로파일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그 중에서도 특히 챔픽스가 효과적인 금연치료 옵션임이 다시 한 번 확인1,2,3,4,5 됐다”며, “이번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금연치료를 하는 의사와 흡연자에게 금연치료에 대한 신뢰를 높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앤드류 파이프(Andrew Pipe) 교수에 이어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김대진 교수는 EAGLES가 가지는 의의와 연구가 앞으로 금연치료 환경에 미칠 영향, 그리고 성공적인 금연치료 전략에 대해 발표했다. 김대진 교수는 “금연치료에 대한 최신 연구결과를 통해 금연치료가 익숙하지 않았던 국내 의료진에게도 하나의 중요한 지침이 될 것으로 보인다”며, “정부의 금연치료 지원사업을 통해 환자 비용 부담 없이 금연치료가 가능해진 만큼 표준치료기간인 12주 치료를 잘 지켜 금연치료를 받는 것이 좋다”고 밝혔다.
한국화이자제약 의학부 총괄 이원식 부사장은 “금연치료 보조요법에 관한 연구 중 하나의 랜드마크가 될 대규모 글로벌 임상인 EAGLES를 발표하게 돼 기쁘게 생각한다. 이번 연구는 금연치료를 하는 의료진과 흡연자들에게 의미있는 근거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며, “우리나라는 OECD 국가 중 흡연율 2위 국가로 여전히 흡연율이 높은 만큼, 화이자제약은 앞으로도 금연치료 활성화를 위해 의학적인 근거를 제공하기 위해 연구와 노력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현재 정부는 금연치료 건강보험 지원사업을 통해 병∙의원에서의 금연치료 시 상담 및 약제비의 상당부분을 지원해주고 있으며, 12주 금연치료 중 3회차 방문부터는 치료비용 전액을 국가가 지원하고 있다.
References
1. RM Anthenelli, et al. Neuropsychiatric safety and efficacy of varenicline, bupropion, and nicotine patch in smokers with and without psychiatric disorders (EAGLES): a double-blind, randomised, placebo-controlled clinical trial, The Lancet, April 22, 2016 http://dx.doi.org/10.1016/ S0140-6736(16)30272-0
2. Gonzales D, et al. Varenicline, α4β2 Nicotonic Acetylcholine receptor partial agonist, vs. sustained-release Bupropion and placebo for smoking cessation: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JAMA July 5, 2006, Vol 296, No 1)
3. Aubin H-J et al. Varenicline versus transdermal nicotine patch for smoking cessation; results from a randomized open-label trial (Thorax, 2008;63:717-724)
4. Douglas E, et al. Efficacy of Varenicline, an α4β2 Nicotonic Acetylcholine receptor partial agonist, vs. placebo or sustained-release Bupropion for smoking cessation (JAMA July 5, 2006, Vol 296, No. 1)
5. Nides M, et al. Varenicline versus bupropion SR or placebo for smoking cessation: a pooled analysis (Am J Health Behav 2008 Nov-Dec;32(6):664-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