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Focus > 윌케어 인슐린펌프 (Will Care Insulin Pump) 세계적 기술을 넘어 환자의 아픔에 다가가고 작은 힘이 되어 보다 행복한 삶을 살수 있도록 끊임없이 노력하는 착한기업 신명메디에스(주) IT와 의료기술을 결합하게된 인슐린펌프 윌케어를 개발한 신명메디에스(주) 정수평 대표 을 만나 인슐린펌프 윌케어에 대해 알아 본다 정수평 대표 정수평 대표은 30년에 걸친 의료계 경험과 그 동안 당뇨병 전문 교수, 전문의, 수많은 당뇨인들과 함께하면서 체득한 경험을 통해 당뇨인들의 아픔과 고뇌 그리고 가족분들의 고통을 너무나도 잘 알게 되었으며. 그래서 깊은 사명감과 사랑의 마음으로 모든 당뇨인들이 건강을 회복해 행복한 삶을 영위할 수 있게 해드리는 것이 무엇인가를 고뇌한 끝에 인슐린펌프를 개발하여 보급하는데 최선의 노력을 20여년 동안 경주해오고 있다 신명메디에스 주식회사는 2007년에 설립이되어 인슐린펌프 그리고 의료기기를 직접적으로 제조하기시작을 하였다. 2009년에서부터 대내외적으로 인증확보를 하게되면서 집중하게 되었고 ISO 13485 시작으로 CFDA와 CE0210인증획득을 하게되었다 IT와 의료기술을 결합하게된 윌케어 인슐린
제20차 경기도의사회 온라인 학술대회, 6월 25일 개최 - 5월 4일 사전등록 오픈, 필수이수과목 2평점 포함 매년 경기도 내 2만 5천여명의 의사회원들이 관심을 가지고 참여할 수 있는 유익하고 실용적인 주제의 경기도의사회 학술대회가 올해는 평년보다 2개월 빠른 6월 25일에 개최된다. 경기도의사회 학술대회는 2020년부터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실시간 온라인 방식으로 진행해 왔으며, 작년에도 4,500여명의 회원이 참석하면서 성황리에 개최 되었다. 올해도 작년 학술대회의 뜨거운 호응과 성원에 보답하고자 보다 많은 회원들이 참석할 수 있도록 온라인 방식으로 개최되며, 참석인원은 작년보다 약 2배 많은 8,000여명 규모로 준비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번 학술대회 구성 프로그램으로는 현시점에 꼭 필요한 최근 의학 지식뿐만 아니라 기본이 되는 내용들도 다시 한번 정리하였으며, 또한 의사가 꼭 알아야 하는 의료법을 포함하여 진료 외적으로 슬기로운 의사생활에 도움이 될 다양한 분야의 내용들을 준비하였다. 특히 예년과 같이 필수과목도 2평점 준비 하였는데, 필수과목은 2019년 의료인 면허신고 대상자부터 필수로 이수해야하는 평점으로, 면허 신고년도 직전 3년간의 24
관상동맥 중재시술 국제학술대회(TCTAP 2023) 개최코로나 19 이후 3년 만에 오프라인 개최···전 세계 심장석학들 ‘한 자리에’ 5월 6~9일 그랜드 워커힐, 시술 생중계 등 기초부터 최신 연구 동향 공유 심장혈관연구재단이 주최하고 서울아산병원 심장병원이 후원하는 제28회 관상동맥 중재시술 국제학술대회(TCTAP 2023)가 5월 6일부터 9일까지 4일간 그랜드 워커힐 서울에서 진행된다. 특히 이번 학술대회는 코로나19 이후 3년 만에 오프라인으로 개최되는 만큼, 세계적으로 많은 관심을 끌고 있다. ‘관상동맥 중재시술 국제학술대회(TCTAP)’는 1995년 서울아산병원에서 처음 개최된 이래 매년 약 50개국 4,000여 명의 심장의학 전문가들이 참여하고 있는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대표적인 국제학술행사이다 이번 학술대회에서는 ▲좌주간부질환, 만성폐색병변 등 관상동맥 중재술과 판막질환의 치료 ▲복부 대동맥류 혈관 내 치료 ▲심혈관 이미지와 생리학 ▲구조적 심장질환 등을 주제로 기초 지식부터 최신 연구 동향을 심도 있게 다루는 세션들이 진행된다. 주요 세션으로는 ▲심장중재시술 관련 각 분야 전문가들이 주요 이슈에 대해 집중 강의하는 ‘TCTAP 워크숍’ ▲
新 염증 질환 진단 및 치료 표적 발견 - 새로운 표적 발견과 생체영상기술 개발로 국제 학술지 논문 게재 - □ 케이메디허브(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이사장 양진영) 연구진이 염증 질환을 조절할 수 있는 표적을 발견하고, 살아있는 동물에서 이를 관찰할 수 있는 생체영상기술을 개발해, 관련 논문을 국제학술지에 게재했다. ○ 연구진들은 염증성 대식세포에서 뇌세포간 신호전달을 조절하는 신경 수용체인 ‘N-메틸-D 아스파르트산염(NMDA)’ 수용체기전 및 생체영상기술로 염증 탐지 가능한 연구를 수행하여 국제저널 ‘셀 앤 바이오사이언스’(Cell & Bioscience, IF: 9.584)에 게재했다. ○ 염증성 대식세포는 신체 내 염증반응을 일으키는 중요한 면역세포 중 하나로서, 대사질환·암·패혈증 등 다양한 질환의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 케이메디허브 연구진은 염증성 대식세포의 활성이 NMDA 수용체를 통해 조절됨을 밝혔다. 염증성 대식세포가 증가하면 염증이 심해지는데, 신체 손상 전에 수용체 조절로 염증을 유발하는 대식세포를 원천 차단하면 많은 질환 유발을 방지할 수 있게 되리라 주목받고 있다. ○ 또한 NMDA 수용체 항체와 근적외선 형광물질을
린버크 임상3상 연구 기반, 중등도에서 중증의 아토피피부염 청소년 환자 대상 유효성과 안전성 확인한 데이터 JAMA Dermatology에 게재 Measure Up 1, Measure Up 2, AD Up 등 3건의 임상연구 기반, 중등도-중증 아토피피부염 청소년 환자 데이터 별도로 추출해 분석 린버크 치료군이 위약군 대비 EASI 75 달성률, vIGA-AD 0/1달성률, 임상적으로 유의미한 가려움증 감소 비율 더 높고, 삶의 질 개선도 확인.1 한국애브비(대표이사 강소영)는 린버크(Rinvoq, 성분명 유파다시티닙, Upadacitinib)의 유효성과 안전성을 평가한 3건의 임상연구에서 전신 치료가 필요한 중등도에서 중증의 아토피피부염 청소년 환자들을 분석한 결과가 미국의학협회 피부과학저널(JAMA Dermatology)에 지난 4월 12일 게재됐다고 밝혔다. 해당 연구는 총 35개국 216개 기관에서 진행한 린버크 단독투여 임상연구(Measure Up 1, Measure Up 2) 및 국소 코르티코스테로이드(TCS) 병용투여 임상연구(AD Up) 등 3건의 무작위, 이중 맹검, 위약 대조 3상 임상연구에서 총 552명(여성 290명, 남성 262
대한환자혈액관리학회, “수혈관리위원회 역할과 수혈적정성평가 강화, 수혈 부담 줄이 는 수혈 대체 신약 접근성 향상 필요” - 이종성 국회의원과 공동으로 혈액공급 부족사태 대응방안 모색을 위한 정책간담회 개최 - 고령화ᆞ저출산에 혈액 수급 급감에 따른 수혈 적정성 관리와 수혈 대체약제 도입과 접근성 강화 방안 모색 논의 - 수혈관리위원회 올바른 역할 수행과 수혈적정성평가 사업 확대 강조 - 만성 수혈 필요한 혈액 질환자에서 수혈 합병증 부담 등 고통 심각, 적혈구성숙제제 등 신약 조속한 급여화 요구 대한환자혈액관리학회(김태엽 회장)는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이종성 의원실(국민의 힘)과 공동으로 지난 19일 ‘혈액공급 부족사태 대응방안 모색을 위한 정책간담회’를 개최했다. 이번 정책간담회에는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이종성 의원(국민의힘) ▲보건복지부 김정숙 혈액장기정책과장, 김준연 국립장기조직혈액관리원 혈액안전감시과장, 손태원 보험약제과 사무관 ▲건강보험심사평가원 김국희 신약등재부장, 장준호 약제기준부장 ▲ 대한환자혈액관리학회 회장 김태엽 건국대병원 교수, 이정재 순천향대서울병원 원장, 박선영 순천향대서울병원 교수 ▲한국혈액암협회 박정숙 사무국장이 참석해
전국민 자살예방 교육 시급! 자살에 대한 오해를 불식하고, 주변에 자살 생각 물어보아야 가정의학과, 신경과, 산부인과, 노인의학, 마취통증의학과 의사들이 다학제로 참여하고 있는 대한우울자살예방학회(회장 홍승봉 교수, 삼성서울병원)는 4월 23일 일요일에 춘계학술대회를 열었다. 1부에는 김희진교수(한양대의대 신경과)와 양영순교수(순천향대의대 신경과)가 우울증 환자의 진찰, 우울 척도와 약물 치료에 대하여 발표하였고, 2부에서는 자살에 대하여 집중적으로 발표하였다. 황순찬교수(인하대 사회복지학과)는 “65세 이상 연령에서 자살 성공율이 4배 높으며, 현재 응급실 자살시도자 사후관리사업은 응급실 조치 후 심리 상담으로 재대로 이어지지 않아서 자살 예방에 문제가 있다. 또한 자살 한달 전에 여러가지 신체, 정신적인 문제로 병의원을 방문하는데 이 때가 자살 예방을 해야하는 시점이다. 술은 사람이 더 충동적이고, 극단적인 선택을 하게 만든다, 하지만 사람은 죽고 싶은 충동 보다 말하고 싶은 충동이 더 커서 누군가 귀를 기울이고 들어주면 자살생각을 버린다”고 말했다. 황교수는 “자살이 많은 나라는 타살이 많고 아이를 낳지 않는다”며 한국의 높은 자살률과 낮은출산율이 서로
[신간] 착한보험본부 정성욱 대표, '보험명의 정닥터의 보험사용설명서' 도서 출간보험회사에서 알려주지 않는 보험의 진실 보험명의 정닥터의 월 1천건 계약하는 비법 공개 보험의 끝판왕, 혼합설계 사용설명서 착한보험본부 정성욱 대표가 보험회사에서 알려주지 않는 보험의 진실을 알려주는 도서 '보험명의 정닥터의 보험사용설명서'를 브랜딩포유 기획과 대경북스를 통해 출간한다고 25일 밝혔다."숨은 보험금, 몰라서 못받는 보험금을 찾아드립니다."라는 책 소개글로 시작하는 이 책은 보험에 대한 오해와 진실을 알려주며, 사고와 질병으로 인한 어려움에 처했을 때 독자들의 가정과 경제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다양한 정보를 제공한다.'보험명의 정닥터의 보험사용설명서'는 숨은 보험금 타내는 비법, 암 보험 및 후유장해보험 제대로 알기, 실손의료보험의 모든 것, 마법같은 혼합설계 따라하기 등의 내용을 담고 있으며, 독자들은 이 책을 통해 보험의 구조와 보상 실무를 제대로 이해하고, 혼합설계를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다.저자 착한보험본부 정성욱 대표는 2017년부터 '보험명의 정닥터'라는 보험방송 유튜브 채널을 통해 보험에 대한 그릇된 인식을 해소하고, 사고와 질병 등으로 어려움에 처했
GE헬스케어 코리아, 2023채널파트너 써밋 개최 ᄃ ‘리더십 강연회 및 간담회’ 열어 동반 성장 및 사업 전략 공유 ᄃ 전년도 우수 채널 파트너 시상식 개최 GE헬스케어 코리아는 지난 4월 20일 채널 파트너(대리점) 대표 및 임직원들과 함께 ‘GE HealthCare, 2023 Channel Partner Summit’을 열고, ‘Together We Grow as One Team!’이라는 주제로 작년 한 해의 성과를 축하하고 GE 헬스케어의 비전을 공유하며 한 팀으로 더 큰 도약을 위한 화합의 장을 마련했다. 이번 써밋은 코로나 이후 처음으로 전체 채널파트너사와 GE헬스케어코리아의 대표와 관련 임직원이 한 자리에 모였다. GE헬스케어 코리아는 채널파트너사의 조직 문화와 경영 인사이트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외부 초빙 강연을 비롯 GE헬스케어 코리아 각 사업부 대표들과 간담회를 통해 상호 소통하며 앞으로의 사업 비전과 전략을 공유했다. 또한, 작년 한 해 우수한 성과를 낸 채널 파트너사를 대상으로 ‘골드 채널’ 인증서 수여식을 진행하였고, 총 8개 업체가 인증서를 받았다. GE헬스케어 코리아는 직전년도 대비 성장 및 신규 시장 개발 등에 큰 성과를 낸 채
한국알콘 북아시아 안과전문의들과 노안교정 인공수정체 최신 지견 공유 ᄋ 제 1회 북아시아 노안교정 인공수정체 써밋 개최, 대만 및 홍콩 안과전문의 다수 참여 ᄋ 한국알콘 최신 다초점 인공수정체 클라레온 팬옵틱스, 아크리소프 비비티를 중심으로 만족도 높은 수술 결과 도출 위한 심도 깊은 논의 진행 [2세계적인 안과 전문기업 한국알콘의 서지컬 사업부는 지난 4월 22일 제1회 북아시아 노안교정 인공수정체 써밋(North Asia PCIOL Summit)을 개최했다. 한국을 비롯해 대만 및 홍콩의 안과전문의들이 온·오프라인으로 참가해 노안교정 인공수정체 수술 경험과 지식을 공유하는 자리를 가졌다. 이번 행사는 2021년부터 국내 안과전문의를 대상으로 진행해 온 “All That PCIOLs(노안 교정용 인공수정체의 모든 것)” 심포지엄을 북아시아 차원으로 확대한 것이다. 특히 코로나19 이후로는 처음으로 국내외 안과전문의들이 모여 백내장 치료에 있어 알콘의 노안교정 인공수정체 수술 사례, 치료 지견 등을 공유하는 자리로 많은 주목을 받았다. 리뉴서울안과 김명준 원장이 좌장을 맡은 가운데, 국내 연자 세션으로 △센트럴서울안과 김균형 원장의 ‘클라레온 팬옵틱스 수술
건국대병원 진단검사의학과 신은주 전공의가 지난 10월 29일 인천 인스파이어 컨벤션센터에서 개최된 2025 대한진단검사의학회 국제학술대회에서 우수구연상을 받았다. 백혈구 감별계수 처리 시간에 대한 심층 분석: 실제 환경에서의 Sysmex DI-60과 수동 카운팅 비교(In-Depth Analysis of Turnaround Time for White Blood Cell Differential: Sysmex DI-60 versus Manual Counting in Real-World Practice)를 주제로 한 구연을 통해 우수구연상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이번 연구는 디지털 형태학 분석기(DI-60)와 수동 백혈구 감별 검사의 검사 소요 시간을 실제 임상 환경에서 비교한 것으로, DI-60이 수동 감별 검사에 비해 검사 시간 측면에서 한계를 나타냄을 확인했다. 그러나 디지털 형태학 분석기를 각 검사실의 수동 슬라이드 검토(MSR) 기준에 적절히 통합한다면 검사 효율 향상에 도움이 될 수 있음을 보여줬다. 이처럼 본 연구가 실제 검사실의 적용 가능성을 중심으로 분석해 임상검사 효율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근거를 제시해 수상하게 됐다. 이 연구는 디지털 형태
곽지연 대한간호조무사협회장 초고령사회 진입과 함께 병원 중심의 의료 체계가 지역사회와 가정 중심의 돌봄 체계로 전환되는 가운데, 그 일환으로 ‘초고령사회, 일차의료 방문‧재택의료 활성화를 논하다’라는 주제로 국회 토론회가 11월 12일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렸다. 이번 토론회는 더불어민주당 남인순·서미화 국회의원과 대한의사협회가 공동 주최하고, 대한간호조무사협회와 대한재택의료학회가 공동 주관했다. 특히 내년 3월 시행을 앞둔 ‘의료·요양 등 지역 돌봄의 통합지원에 관한 법’에 대해 다양한 보건의료 직역과 단체들이 일차의료 중심의 재택의료 체계 정착을 위한 전략과 과제를 공유했다. 이날 토론회에서는 특별히 ‘간호조무사’의 역할과 제도적 위치에 대한 논의가 주목됐다. 방문진료 시 의사와 동반하는 간호조무사에 대해 수가를 신설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기됐으며, 재택의료 확대에 따라 지역 기반의 인력 확보가 핵심 과제로 떠오르면서 간호조무사 활용과 제도적 보장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았다. 개회식에서는 남인순·서미화 의원, 김택우 대한의사협회장, 곽지연 대한간호조무사협회장 등이 참석해 초고령사회 대응을 위한 의료전달체계 개편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남인순 의원은 “통합돌봄과
한국제약바이오협회(회장 노연홍)는 지난 3일부터 5일까지 오스트리아 비엔나에서 열린 유럽 최대 제약바이오 전시회인 ‘바이오유럽 2025’(BIO Europe 2025)에 참가해 국내 기업의 해외 진출과 글로벌 협력 강화를 위한 다양한 활동을 전개했다고 6일 밝혔다. 올해로 31회째를 맞은 바이오유럽은 전 세계 약 55개국에서 5,800명 이상이 참가하면서 역대 최대 규모로 개최됐다. 한국은 200개 이상의 기업·기관에서 460여 명이 참가해, 전체 참가국 중 네 번째로 큰 규모를 기록하며 한국 제약바이오산업의 위상을 높였다. 전시회 기간 협회 대표단은 독일, 미국, 일본, 싱가포르 등 주요국 클러스터와 투자진흥기관 등의 관계자들을 만나 한국 제약바이오산업의 경쟁력과 혁신 생태계를 소개하고, 글로벌 시장 진출 확대를 위한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특히, 독일 바이에른 소재의 대표적인 바이오 클러스터 BioM과 시장 정보 제공을 위한 세미나 및 기업 간 교류 행사 개최 방안 필요성 등에 공감하며, 향후 협력 확대의 기반을 마련했다. 또한 협회는 한국보건산업진흥원, 국가독성과학연구소와 공동으로 ‘한국관’(Korea Pavilion)을 운영하며 한국 제약바이오산업의
대한간호조무사협회(회장 곽지연)는 지난 10월 29일 협회 LPN홀에서 ‘간호·간병통합서비스 제도개선 회원간담회’를 개최했다. 간담회에는 전국 임상협의회 김금옥 회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간호·간병통합서비스 현장에서 근무하는 간호조무사들이 겪는 문제점을 심도 있게 논의했다. 이날 간담회에서는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 현장의 불합리한 운영 실태와 과중한 업무 부담에 대한 의견이 집중적으로 제기됐다. 현장 참석자들은 병동 내 간호사, 간호조무사, 병동지원 인력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제도 취지에 맞는 업무 위임 기준이 지켜지지 않는 경우가 비일비재하다고 했다. 이와 함께 체감상 간호조무사 한 명이 30명 이상 환자를 담당하며 안내, 이송, 약품 전달, 식사 보조, 구강 간호, 기저귀 교체 등 모든 업무를 수행하여 업무 과중이 이뤄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또한, 환자 대부분이 중증 수술 환자임에도 휠체어 이송 및 재활 보조까지 담당하는 등 현장에서는 업무 한계가 불분명하여 업무 과중이 심각한 수준이라고 밝혔다. 병원 내부에서 간호·간병 제도 개선 교육 및 업무 분장 지침 제공이 미흡해 업무 범위 혼선이 발생한다는 지적과 함께, 환자가 간호조무사를 간병인으로 오인하여 언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