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동두천 15.1℃맑음
  • 강릉 11.8℃맑음
  • 서울 16.1℃맑음
  • 대전 16.0℃맑음
  • 대구 14.0℃구름조금
  • 울산 12.0℃구름조금
  • 광주 15.4℃구름많음
  • 부산 13.3℃구름조금
  • 고창 12.0℃구름많음
  • 제주 12.4℃흐림
  • 강화 12.8℃구름조금
  • 보은 14.0℃맑음
  • 금산 15.3℃구름많음
  • 강진군 15.0℃구름많음
  • 경주시 13.1℃맑음
  • 거제 14.3℃구름조금
기상청 제공
회원가입

사노피, 만성 이식편대숙주질환 혁신 치료제 레주록® 허가 기자간담회 통해 조혈모세포이식 후 합병증 치료의 새로운 패러다임 제시

사노피, 만성 이식편대숙주질환 혁신 치료제 레주록® 허가 

기자간담회 통해 조혈모세포이식 합병증 치료의 새로운 패러다임 제시

 

* 레주록®, 만성 이식편대숙주질환의 염증 반응 섬유화 과정을 이중 표적하는 혁신적인 경구용 ROCK2 선택적 억제제

* 이전 2 이상 전신요법에 실패한 성인 12 이상 소아 환자의 만성 이식편대숙주질환 치료제로 지난 8 식약처 허가 획득

* 레주록® 복용 환자군 75%에서 치료 반응율 확인, 52%에서 유의한 삶의 개선 확인

 

글로벌 헬스케어 기업 사노피의 한국법인[1](이하 사노피, 대표 배경은) 24 만성 이식편대숙주질환 치료제 레주록®(Rezurock®, 성분명: 벨루모수딜메실산염(미분화)) 허가 기념 기자간담회를 개최하고, 레주록® 임상적 가치와 치료 혜택에 대해 소개했다고 밝혔다.

 

최초이자 유일한[2] 경구용 ROCK2 선택적 억제제 레주록® 지난 8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이전에 2 이상 전신요법에 실패한 성인 12 이상 소아 환자의 만성 이식편대숙주질환 치료제로 허가를 받았다.[i] 레주록® 만성 이식편대숙주질환의 염증 반응 섬유화 과정을 표적하는 새로운 작용기전인 ROCK2 선택적 억제제로서 혁신성을 인정받아 미국 FDA에서 우선 심사 대상으로 승인된 있다.[ii]

 

만성 이식편대숙주질환은 동종 조혈모세포 이식을 받은 환자의 절반에서 발생하는 합병증으로, 전신에 걸쳐 다발적으로 숙주 반응이 발생하는 중증질환이다.[iii] 전신을 뒤덮는 붉은 발진과 가려움증 같은 피부 숙주 반응, 구토 설사 등의 위장 숙주 반응, 안구건조 광선 공포증 등의 안구 숙주 반응 뿐만 아니라 폐와 간에서도 숙주 반응이 나타나 환자의 생명을 위협할 만큼 치명적이다.[iv],[v],[vi] 일상 생활, 정신 건강, 사회경제 활동 등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쳐 환자의 삶의 또한 현저히 저하시킨다.[vii],[viii]

 

이번 간담회에 연자로 참여한 서울성모병원 혈액병원장 김희제 교수는 <만성 이식편대숙주질환의 질병 부담 치료 한계>라는 주제로 만성 이식편대숙주질환의 미충족 수요와 높은 질병부담에 대해서 발표했다.

 

김희제 교수는 만성 이식편대숙주질환은 혈액암 환자의 암의 재발을 제외한 비재발사망율에서37.8% 차지하는 가장 주요한 사망 원인이다[ix], “심지어 1 치료제로 쓰이고 있는 스테로이드제로 충분한 치료 효과를 보지 못하는 환자가 70% 되고[x], 2 치료제에도 이상 반응하지 않아 3 치료로 넘어가는 환자가  50% [xi] 새로운 치료 접근 필요성이 절실했다 강조했다.

 

또한 교수는 만성 이식편대숙주질환 환자의 42% 진단 당시 4 이상의 장기에 숙주 반응을 앓고 있으며[xii], 전신에 다발적으로 발생한 증상들은 환자들의 삶의 질을 현격히 저하시킨다[xiii], “특히 폐와 간에서 발생하는 숙주 반응은 혈액암 환자에게 치명적인 영향을 끼칠 있어 이를 효과적으로 관리할 있는 치료제가 절실했다. 레주록은 기존 치료제에 반응하지 않는 환자의 폐와 숙주 반응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있는 치료옵션이라며 기대감을 표시했다.

 

이어서 두번째 연자로 참여한 세브란스병원 혈액내과 정준원 교수는 <만성 이식편대숙주질환 치료제로 허가 받은 레주록의 임상적 유용성>라는 주제 발표를 통해 레주록® 허가 근거가 임상연구 ROCK Star 결과를 소개했다.12

 

정준원 교수는 임상연구 결과 레주록® 이전에 2 이상 전신요법에서 실패한 환자의 모든 장기에서  만성 이식편대숙주질환 증상 개선 삶의 개선 효과를 확인했다. ROCK Star 연구에서 레주록® 1 1 200mg 복용한 환자군의 75%에서 객관적 치료 반응율이 나타났으며, 64%에서는 스테로이드 사용 용량 감소가 확인됐다면서 삶의 측면에서도 52%에서 개선 효과를 확인했다 설명했다.[xiv]

 

또한 그동안은 2 치료 후에도 증상이 개선되지 않은 만성 이식편대숙주질환 환자들에게 다시 스테로이드를 포함한 병용요법을 적용해야 했는데 감수해야 부작용 위험이 높아 고민이 많았다. 레주록의 임상연구 결과를 보면 1 시점에 치료 환자의 62%에서 치료 반응을 나타내며  사망 또는 새로운 전신요법을 사용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1,14 이제 만성 이식편대숙주질환도 혁신적인 3 이상의 치료옵션을 갖게 것에 의의가 있다 강조했다.

 

ROCK star 연구 결과, 레주록® 1 1 200mg 복용 최초 반응까지 걸린 시간의 중앙값은 1.8개월로 나타났으며1, 환자들의 치료 유지 기간 중간값은 9.4개월로 확인됐다.12 또한, 레주록® 내약성을 확인했으며, 가장 흔한 부작용은 폐렴(7%)이었다. 3등급 또는 4등급 정도의 흔한 부작용(5% 이상)으로는, 폐렴(8%), 고혈압(6%), 고혈당(5%) 등이 확인됐다. 24%에서는 간기능 검사 수치가 상승했다.12,[xv]

 

마지막으로 <혁신적인 만성 이식편대숙주질환 치료 신제품 레주록 소개>라는 주제로 발표한 사노피 메디컬부의 김나래 메디컬 어드바이저는 레주록® 만성 이식편대숙주질환에 대한 새로운 작용기전을 가진 ROCK2 선택적 억제제로, 현재 국내에 허가된 치료 옵션 , 만성 이식편대숙주질환만을 위해 특화된 의약품이라며 특히 만성 이식편대숙주질환 환자에게 가장 치명적인 폐와 간의 손상에서 개선 효과를 확인한 것이 특징이라고 전했다. 이어 이번 레주록® 허가로 2 이상의 전신요법에도 실패한 만성 이식편대숙주질환 환자들이 혁신적인 치료제를 통해 삶의 질이 크게 개선되길 기대한다 강조했다.

 

배경은

사노피 한국법인 대표, 한국 호주/뉴질랜드 제약(Pharma) 총괄 다국가 리드

 만성 이식편대숙주질환은 질병 부담과 미충족 수요가 높지만 치료가 제한적인데다, 환자들이 겪는 고통 또한 많이 알려지지 않은 중증질환이다. 이번 레주록® 허가를 통해 국내 만성 이식편대숙주질환 환자들께 새로운 치료 기회를 제공하고, 이를 통해 환자와 가족들의 삶의 질을 높이는 기여할 있어 매우 기쁘다 설명했다. 이어서 사노피는 중증희귀질환 환자들의 어려움을 이해하고, 국내 치료 환경을 혁신적으로 개선해 궁극적으로는 환자 질병 부담을 낮추는데에 지속적으로 기여할 이라고 강조했다.

       

레주록® 염증 섬유화 반응에 대한 이중 억제제로, 만성 이식편대숙주질환의 염증과 섬유화 유발 물질로 여겨지는 ROCK2 신호전달 경로를 선택적으로 억제하는 작용 기전을 가진다.[xvi],[xvii] 만성 이식편대숙주질환의 염증 섬유화 과정에서 레주록® ROCK2 선택적으로 억제하여 STAT3 활성도를 감소시키고16,[xviii],[xix], 섬유화 유전자 발현 변화를 억제함으로써, 나머지 면역 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며 증상을 완화 시킬 있다.17

 

 

레주록® 대하여

2024 8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최초이자 유일한[3] 경구용 ROCK2 선택적 억제제 레주록® 이전에 2 이상 전신요법에 실패한 성인 12 이상의 만성 이식편대숙주질환자의 치료를 위해 국내 시판을 허가했다.1 레주록® 염증 섬유화 반응에 대한 이중 억제제로, 만성 이식편대숙주질환의 염증과 섬유화 유발 물질로 여겨지는 ROCK2 신호전달 경로를 선택적으로 억제하는 작용 기전을 가진다.16,17 레주록® 사노피의 계열사인 캐드먼(Kadmon)에서 개발한 의약품이다.14

 

ROCK Star Study 2 임상에 대하여

2 임상시험은 레주록® 1 1 200mg 복용한 환자군 66명을 대상으로 연구한 결과, 객관적 반응율(ORR) 75%(95% CI, 63-85) 확인했다.1,14 첫번째 반응이 나타난 시점의 중간값은 1.8개월(95% CI, 1.0-1.9)이였다.오류! 책갈피가 정의되어 있지 않습니다. 치료 반응이 나타난 환자군의 62%(95% CI, 46-74)에서 치료 효과가 나타난 12개월 동안 사망 또는 새로운 전신요법을 사용하지 않은 것이 확인됐다. 삶의 질을 측정하는 LLS 점수는 52%(95% CI, 40-65) 환자에서 개선된 것을 확인했다.1,14 또한, 레주록® 증상이 있던 모든 장기(위장, 식도, 구강, 관절, , 피부, , )에서 치료 효과가 나타났다.12

 

만성 이식편대숙주 질환에 대하여

만성 이식편대숙주질환은 동종 조혈모세포 이식 환자의 50%에서 발생하는 합병증으로, 전신에 거쳐 다발적으로 발생하는 숙주 반응으로 인해 환자의 생명을 위협하며 삶의 질에 영향을 주는 중증질환이다.3 만성 이식편대숙주질환 환자는 초기에는 구강 점막부터 시작하여, 이후에는 피부, 손톱, , 근육, 힘줄, 위장, , , 관절, 신경, 신장, 장막, 생식시 심장 면역 체계까지 걸쳐 동시 다발적인 증상을 경험한다.[xx] 전신을 뒤덮는 붉은 발진, 가려움증 등과 같은 피부 숙주 반응, 구역, 구토 설사 등의 위장 숙주 반응, 안구건조, 광선 공포증 같은 안구 숙주 반응으로 인해 일상생활이나 정신 건강, 사회경제적 활동 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있다.4,7,8 또한 1 치료제로 국소 스테로이드제를 처방하지만 장기 사용 쿠싱증후군 등과 같은 부작용이 동반되며 안전성 위험이 있다.[xxi]

 



[1] 사노피의 한국법인인 사노피-아벤티스 코리아(대표 배경은), 오펠라헬스케어코리아(대표 정경희) 보도자료는 사노피-아벤티스 코리아에서 발행한 보도자료입니다.

[2] 식약처 의약품통합정보시스템 효능효과 검색어 이식편’, ‘이식편대숙주질환 조회된 허가품목 기준 as of Sep 2024.

[3] 식약처 의약품통합정보시스템 효능효과 검색어 이식편’, ‘이식편대숙주질환 조회된 허가품목 기준 as of Sep 2024.



[i] 레주록â 식약처 허가 사항(문안개정년월일: 2024.08.29).

[ii] FDA approves belumosudil for chronic graft-versus-host disease. FDA. https://www.fda.gov/drugs/resources-information-approved-drugs/fda-approves-belumosudil-chronic-graft-versus-host-disease, Accessed on July 2024.

[iii] KSBMT, Handbook 2, 조혈모세포이식의 실제, 2023 4.

[iv] Jagasia et al.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Consensus Development Project on Criteria for Clinical Trials in Chronic Graft-versus-Host Disease: I. The 2014 Diagnosis and Staging Working Group report. Biol Blood Marrow Transplant. 2015 Mar;21(3):389-401.e1. doi: 10.1016/j.bbmt.2014.12.001.

[v] Au BKC et al. Bronchiolitis obliterans syndrome epidemiology after allogeneic hematopoietic cell transplantation. Biol Blood Marrow Transplant. 2011;17(7):1072-1078. doi:10.1016/j.bbmt.2010.11.018

[vi] Matsukuma KE, et al. Diagnosis and differential diagnosis of hepatic graft versus host disease (GVHD). J Gastrointest Oncol. 2016 Apr;7(Suppl 1):S21-31. doi: 10.3978/j.issn.2078-6891.2015.036.

[vii] Lee SJ et al. Patient-reported outcomes and health status associated with chronic graft-versus-host disease. Haematologica. 2018 Sep;103(9):1535-1541. doi: 10.3324/haematol.2018.192930.

[viii] Waldman L et al. J Clin Oncol. 2018;36(15 suppl):e22137. doi:10.1200/JCO.2018.36.15_suppl.e22137

[ix] Zachariah DeFilipp et al., Nonrelapse mortality among patients diagnosed with chronic GVHD: an updated analysis from the Chronic GVHD Consortium, Volume 5, Issue 20, 26 October 2021, Pages 4278-4284

[x] Bachier CR et al. Epidemiology and Treatment of Chronic Graft-versus-Host Disease Post-Allogeneic Hematopoietic Cell Transplantation: A US Claims Analysis, Transplantation and Cellular Therapy, Volume 27, Issue 6, 2021, Pages 504.e1-504.e6, ISSN 2666-6367, https://doi.org/10.1016/j.jtct.2020.12.027.

[xi] Lee SJ et al. Success of immunosuppressive treatments in patients with chronic graft-versus-host disease. Biol Blood Marrow Transplant. 2018;24(3):555-562. doi:10.1016/j.bbmt.2017.10.042

[xii] Cutler C, Lee SJ, Arai S, et al; on behalf of the ROCKstar Study Investigators. Belumosudil for chronic graft-versus-host disease after 2 or more prior lines of therapy: the ROCKstar Study. Blood. 2021;138(22):2278-2289. doi:10.1182/blood.2021012021

[xiii] Kurosawa S, Oshima K, Yamaguchi T, et al. Quality of life after allogeneic hematopoietic cell transplantation according to affected organ and severity of chronic graft-versus-host disease. Biol Blood Marrow Transplant. 2017;23(10):1749-1758. doi:10.1016/j.bbmt.2017.06.011

[xiv] REZUROCK (belumosudil) PRESCRIBING INFORMATION. Available at https://www.accessdata.fda.gov/drugsatfda_docs/label2024/214783s005lbl.pdf. Revised: 4/2024.

[xv] Jagasia M. et al., ROCK2 Inhibition With Belumosudil (KD025) for the Treatment of Chronic Graft-Versus-Host Disease. JCO 39, 1888-1898(2021). DOI:10.1200/JCO.20.02754

[xvi] Zanin-Zhorov A, et al. Selective oral ROCK2 inhibitor down-regulates IL-21 and IL-17 secretion in human T cells via STAT3-dependent mechanism. Proc Natl Acad Sci U S A. 2014 Nov 25;111(47):16814-16819. doi: 10.1073/pnas.1414189111.

[xvii] Flynn R, et al. Targeted Rho-associated kinase 2 inhibition suppresses murine and human chronic GVHD through a Stat3-dependent mechanism. Blood. 2016;127(17):2144-2154. doi: 10.1182/blood-2015-10-678706.

[xviii] Chen W, Nyuydzefe MS, Weiss JM, Zhang J, Waksal SD, Zanin-Zhorov A. ROCK2, but not ROCK1 interacts with phosphorylated STAT3 and co-occupies TH17/TFH gene promoters in TH17-activated human T cells. Sci Rep. 2018;8(1):16636. doi:10.1038/s41598-018-35109-9

[xix] Weiss JM, Chen W, Nyuydzefe MS, et al. ROCK2 signaling is required to induce a subset of T follicular helper cells through opposing effects on STATs in autoimmune settings. Sci Signal. 2016;9(437):ra73. doi:10.1126/scisignal.aad8953

[xx] Fiuza-Luces C, et al. Physical function an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chronic GvHD: a summary of preclinical and clinical studies and a call for exercise intervention trials in patients. Bone Marrow Transplant. 2016 Jan;51(1):13-26. doi: 10.1038/bmt.2015.195.

[xxi] Buchman, A. L. Side effects of corticosteroid therapy, J Clin Gastroenterol. 2001 Oct;33(4):289-94. doi: 10.1097/00004836-200110000-00006.

배너

뉴스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