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MSD, 개원의 대상 온라인 심포지엄 ‘백신명가(家)’ 성료 코로나19 상황에서 바이러스 감염병 예방에 대한 최신지견과 백신의 예방가치 조망 인플루엔자·대상포진·HPV·로타바이러스·폐렴구균 등 5가지 백신의 최신 연구결과 및 변경된 접종 가이드라인, 적응증 정보 등 공유 백신명가 웹캐스트, 개원의2,200명 참석… 포스트 코로나 시대, 백신 중요성 공유 세계적인 바이오헬스케어 기업 MSD의 한국 지사인 한국 MSD(대표 아비 벤쇼샨)는 지난 9월 7일부터 9월 18일까지 개원의를 대상으로 진행한 백신명가(家) 및 오감위크 2.0 웹캐스트를 성황리에 마쳤다고 23일 밝혔다. 10일간 진행된 웹캐스트에 약3,500명(백신명가2,200여명, 오감위크2.01,300여명)의 의료진이 참석했으며, 코로나 시대에 바이러스 질환의 예방 필요성과 최신 예방백신 접종 정보, 만성질환 최신지견 등을 공유하는 의미 있는 자리였다고 평가 받았다. 특히, 백신명가 웹캐스트는 최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이하 코로나19)의 확산으로 바이러스 감염병에 대한 관심과 우려가 높아진 상황에 맞춰, ‘포스트 코로나 시대, 왜 백신인가?’를 주제로 마련됐다. 총 5개의 강연 세션을 통해 바이러스
한국로슈진단,온라인 ‘VOD(The Value of Diagnosis)심포지엄’ 성료 국내 진단검사전문의110여명이 참여해간세포암종, 혈액응고 검사및 코로나진단검사 마커활용 방법및 사례공유 코로나 19 정부 방역지침에 따라한국로슈진단 주관첫 웹심포지엄으로 진행 한국로슈진단 (대표이사 조니 제) 은 9월 10일 진단검사의학과 전문의를 대상으로 첫 번째 웹심포지엄을 개최했다. 간암 조기 진단에 유용한 마커와 혈액응고 검사를 활용한 헤파린 모니터링 및 혈액응고 검사 트렌드를 소개하고, 코로나 19 전반에 걸친 진단검사의학과의 역할에 대하여 논의했다. 올해로다섯번째를맞는이번심포지엄에는권계철교수(충남의대), 박노진 교수(순천향의대), 강희정 교수(한림의대)가 좌장을 맡고, 김도영 교수(연세의대), 장성수 교수(울산의대), 비터스 박사(로슈진단 본사 개발팀)이 연자를 맡아 각 주체에 대해 심도 깊은 강연을 펼쳤다. 이번 행사에는 국내 진단검사 전문의 110여 명이 참여해 간세포암종의 진단 및 치료, 혈액응고와 코로나 19 항체검사에 대한 지견을 교환하며 높은 관심을 나타냈다. 첫세션에서는 로슈진단의새로운 간세포암종양표지자인 PIVKA-II가소개되었다. 기존의간암 종양표
GSK(한국법인 사장 줄리엔 샘슨)는 자사의 자궁경부암 백신 ‘서바릭스(Cervarix)’가 스코틀랜드 리얼월드데이터(Real World Data, RWD)를 통해 자궁경부암 발병 감소에 매우 높은 유용성을 입증한 것을 기념해 의료진 대상 전국 심포지엄을 진행했다고 밝혔다. 지난 19일 마지막 일정으로 서울 동대문 JW메리어트에서 진행된 심포지엄에서는 한림대 강남성심병원 산부인과 박성택 교수와 GSK 백신학술부 김형우 부장이 연자로 나서 ▲스코틀랜드 Real World Data 를 통해 본 HPV 백신의 10년간의 기록 ▲서바릭스의 교차예방과 항원보강체계에 대해 발표했다. 이번 심포지엄에서 발표된 스코틀랜드 Real World Data [i]는 지난 2008년부터 2012년까지 만 12~13세 여성 청소년들에게 사람유두종바이러스(HPV, Human papillomavirus) 백신 서바릭스를 3회 국가필수예방접종으로 접종하고, 7~8년 뒤 만 20~21세 기점에 자궁경부암 검진을 시행해 모든 단계의 전암병변(CIN) 발병을 확인한 후향적 집단 연구결과다. 이 연구결과는 지난 4월 영국 의학저널 BMJ(British Medical Journal)에 게재된 바
수부 골관절염에서 GCSB-5 신바로 장기사용의 유효성과 안전성 2016년 대한정형외과학회 추계학술대회 중에 10월 21일 “수부 골관절염에서 GCSB-5 장기사용의 유효성과 안전성”을 주제로 심포지엄이 개최되었다. 경희의대 장덕환 교수가 좌장을 맡은 가운데 서울의대 이은봉 교수가 강연하고 질의응답이 이어졌다. 이날의 강연과 질의응답의 주요내용을 정리하였다편집자주. 좌장 : 정덕환 교수(경희의대, 경희대병원) 연자 : 이은봉 교수(서울의대, 서울대병원) 수부 골관절염에서 GCSB-5 장기사용의 유효성과 안전성 수부 OA골관절염(osteoarthritis, OA)은 퇴행성관절염, 골관절염, 퇴행성 골질환 등으로도 불리며 무릎과 척추, 엉덩이 및 수부(hand)에 호발하나 수부 OA에 대한 관심은 적은 편이다. 증상만으로 보면 수부 OA가 10% 내외이나 방사선상에서 뼈가 튀어나온(bone enlargement) 것이 관찰되는 수부 OA는 70대에서 60~70%의 환자가 있고 80대에서는 80% 이상이 해당된다. 따라서 고령화 사회가 진행됨에 따라 수부 OA는 임상적으로 문제가 되는 질환이 될 것이다. 실제 임상에서는 류마티스 관절염(rheumatoid arth
UROPIA Symposium2015년 8월 29일, 제주롯데호텔에서 UROPIA 심포지엄이 개최되었다. 이번 심포지엄은 종근당의 첫번째 비뇨기과 통합 심포지엄으로 종합병원 및 대학병원, 개인병원 전문의들을 대상으로 진행되어 의미가 있었다. 세 개의 세션으로 구성되었으며, 이규성 교수(성균관의대), 신명식 원장(명비뇨기과), 김세웅 교수(가톨릭의대)가 각각 좌장을 맡았다. 각 세션의 주요 강의 내용과 질의응답에 대해 소개한다.Review of Recent Guidelines of alpha Blocker AntiCholinergics: Discovering a new Anticholinergics of OAB Treatment좌장: 이규성 교수(성균관의대)여정균 교수(인제의대)하부요로증상(Lower urinary tract symptoms, LUTS)의 기전은 매우 다양하며, 여러 가지 수용체들이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α-AR, 5AR,M3-R을 비롯, PDE5, β3-AR와 관련된 약물들이 이미 개발되어 LUTS에 사용되고 있다. 향후에는 5가지 약물이 우리가 LUTS와 관련되어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조합으로 나올 것으로 기대된다. 과민성방광(O
GynoFlor® Congressand Symposia in 20153월 20일 서울 코엑스인터콘티넨탈에서“GynoFlor® Congressand Symposia in 2015”이 열렸다. 서울의대 산부인과 김석현 교수가좌장을 맡았고, 서울의대 산부인과 이정렬 교수가 ‘재발성질염과위축성질염 치료시 질 프로바이오틱스와 저용량 에스트리올의 효과’, 벨기에 Antwerp 대학 산부인과 Gilbert Donders 교수가 ‘질염 치료의 최신 지견’이라는 주제로 강연하였다. 강연 주요 내용을 요약 정리하고자 한다편집자주. 좌장: 김석현 교수(서울의대 산부인과)Vaginal Probiotics and Low-dose Estriol for Recurrentand Atrophic Vaginitis 이정렬 교수(서울의대 산부인과)질염의 재발과 그 원인3대 질염으로 세균질증, 질트리코모나스증, 질칸디다증이 있으며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enters for DiseaseControl and Prevention, CDC) 가이드라인으로 치료를 하는 경우에 치료가 잘 되지만 재발이 빈번하게 일어나
2015대한배뇨장애요실금학회-대한요로생식기감염학회 공동 심포지엄 4월 3일 서울 신촌세브란스병원에서“2015 대한배뇨장애요실금학회-대한요로생식기감염학회공동 심포지엄”이 열렸다. 대구가톨릭의대 비뇨기과김덕윤 교수가 좌장을 맡았고, 일본 국립의료장수연구센터 비뇨기과Masaki Yoshida 과장이 ‘과민성 방광 치료의 최신 지견’을 주제로 강연하였다. 강연 주요 내용을 요약 정리하고자 한다. 좌장: 김덕윤 교수대구가톨릭의대 비뇨기과 The Latest Knowledge in the Treatment of OveractiveBladder and Various Prescription Options Dr. MasakiYoshida 과장일본 국립의료장수연구센터 비뇨기과과민성 방광의 정의 및 병리 기전과민성 방광(overactive bladder, OAB)은 빈뇨, 야간뇨를 동반하며절박요실금이 종종 동반되는 요절박으로 정의된다. 방광종양, 담석, 요로감염의 경우 OAB와 유사한 증상을 나타내므로 OAB 진단 시 이들을 제외시켜야 한다. 방광의 정상적인생리를 살펴
Symposium Highlight종근당_유리토스전립선 비대증 환자에게 동반된 과민성 방광증의 치료이형래 교수 강동경희대병원 비뇨기과소공동 롯데호텔에서 전립선 환자에게 동반된 과민성 방광증의 치료를 주제로 한 심포지엄이 열렸다. 전립선 비대증은 중년 이후의 남성에게 많이 발병하는 대표적 질환으로 이형래 교수(경희의대)는 이날 강연을 통해 과민성 방광 증상이 있는 전립선 비대증 환자들의 진단과 치료법을 설명하고 현재 많이 사용되는 치료제인 imidafenacin의 임상연구 데이터를 소개했다. 본지에서는 이날의 강연 및 질의응답 내용을 간략히 소개한다.Imidafenacin은 다른 항무스카린제에 비해 장기 선택성이 높아 구강 건조증 및 변비의 발생률이 낮다. 임상연구에서 과민성 방광 증상이 있는 전립선 비대증 환자에게 imidafenacin을 알파차단제와 병용해주면 과민성 방광 증상을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개선시켜주었다.과민성 방광의 병태생리와 증상과민성 방광의 병태생리(pathophysiology)는 근육성 변화와 신경학적 변화로 나눌 수 있다. 근육성 변화의 경우 우선 배뇨근 세포(detrusor muscle cell)에 여러 가지 변화가 생기게 되고 거기에
아이젠사이언스 김선규 이사, 강재우 대표, 플록 쩌화 청 최고과학책임자, 웨이 다이 박사 탈중앙화·프라이버시 보호형 AI를 위한 웹3 네이티브(Web3-native) 플랫폼 플록과 AI 기반 신약 개발 분야에서 다수의 수상 실적을 보유한 아이젠사이언스가 양사 기술을 통합하는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을 통해 국내 제약·의료 기관들은 민감한 데이터를 이동하거나 노출하지 않고도 공동으로 AI 모델을 학습할 수 있게 된다. 이번 MOU에 따라 플록의 온체인 연합학습(federated learning) 인프라가 아이젠사이언스의 대규모 언어 모델(LLM) 기반 신약 개발 엔진과 연동된다. 이를 통해 병원과 연구기관은 데이터 소유권을 유지한 채 실제 임상·연구 데이터를 안전하게 활용할 수 있다. 플록의 공동 설립자 겸 CEO인 지아하오 선(Jiahao Sun)은 “이번 협력은 생명과학 분야에서 진정한 탈중앙화 AI를 실현하는 중요한 이정표”라며 “우리의 블록체인으로 보호되는 인센티브 레이어를 아이젠사이언스의 검증된 신약 개발 플랫폼과 결합함으로써 최고 수준의 프라이버시를 유지하면서도 고부가가치 바이오헬스 분야의 인사이트를 효과적으로 도출할 수 있다”고 말
압구정 프리미엄 지방흡입,지방이식으로 유명한 라인컬처의원(조재형 대표원장)이 국내 보건산업계에서 권위 있는 상으로 인정받는 '2025 대한민국보건산업대상'에서 브랜드 대상을 수상했다고 10일 밝혔다다. 라인컬처의원은 서울 리버사이드호텔에서 개최된 '2025 대한민국보건산업대상' 시상식에서 높은 수준의 의료성과를 인정받고 동시에 해외환자의 적극적 유치에 기여한 공적으로 국내의료기관 브랜드 대상의 영예를 안았다. 이번 수상은 라인컬처의원이 프리미엄 지방성형 의료기관으로서 대한민국 보건산업계에 명실공히 자리매김을 하며, 조재형 대표원장의 풍부한 임상 경험과 차별화된 의료 서비스가 공식적으로 인정받은 결과로 평가된다. 대한민국보건산업대상의 이번 심사는 공적서류 검토를 시작으로 전문심사위원회 및 표창기관 공적심사위원회의 다단계 심사 과정을 거쳐 진행되었으며 특히 지방흡입 분야에서는 의료 안전성, 고객 만족도, 기술 혁신성, 사회적 신뢰도 등이 주요 평가 기준으로 적용됐다. 조재형 대표원장은 15년 이상 경력의 외과전문의로서 수준높은 수술 경험과 정교한 기술력을 바탕으로 사전 상담부터 수술, 수술후 경과체크까지 전 과정을 직접 진행한다. 초음파를 이용한 상세진단과 주름
의료대란이라는 중대한 시기에, 회원들의 윤리 문제를 다뤄야 할 중앙윤리위원회(이하 '중윤위')가 정치 기구로 변질되어, 의료대란 속에서도 앞장서 투쟁하고 있는 경기도의사회에 대해 회장을 28차례나 형사 고소하는 등, 단체 내 끊임없는 악의적 일탈/분열 행위와 회무 방해를 일삼아 온 김세헌 회원의 대행자로 전락하였다. 이에 경기도의사회는 중윤위의 반복적 정치 개입과 경기도의사회에 대한 업무 방해에 깊은 유감과 우려를 표한다. 중윤위와 결탁한 김세헌 회원은 지금까지 경기도의사회장에 대해 무려 28차례에 달하는 악의적인 형사 고소를 반복하며 회무를 방해해 왔다. 또한 회장 선거에 대해 허위사실을 유포하고 선거 무효 소송을 제기했으나, 수사기관에서 모두 사실무근이거나 법원 판결로 모두 기각되었다. 그는 2018년 6월 18일부터 2023년 5월 18일 대법원 최종 기각까지, 무려 5년간 대의원총회 무효 소송을 반복 제기하며 집행부 및 대의원회의 정상적 회무 수행을 악의적으로 방해해 왔다. 이처럼 김세헌회원의 수많은 고소와 소송은 모두 무혐의 처분되거나 기각되었음에도, 그는 이번에는 중윤위를 정쟁 도구로 삼아, 신민호 위원 및 일부 위원들과 결탁하여 경기도의사회의 주
국회와 산업계가 필수의약품 공급망 안정화와 제조역량 강화 방안을 논의하는 혁신포럼을 개최한다. 한국제약바이오협회(회장 노연홍)는 더불어민주당 서영석 의원, 국민의힘 한지아 의원과 함께 오는 7월 10일 오전 10시 국회 의원회관 제8간담회실에서 제약바이오 비전2030 실현을 위한 제2차 혁신포럼의 일환으로 ‘국민건강 안전망 구축을 위한 의약품 제조역량 강화 토론회’를 개최한다고 2일 밝혔다. 세계 각국의 보호 무역주의로 인해 보건안보에 대한 중요성이 커진 가운데 국회는 이번 포럼을 통해 국민건강 안전망 구축의 전제 조건인 ‘원료산업 활성화, 필수의약품 안정공급체계 구축, 제조 혁신’ 실행 방안을 놓고 산업계와 학계, 정부 관계자들과 논의할 계획이다. 이날 토론회에선 ‘제조역량 강화로 국민건강 안전망 구축’을 주제로 ‘필수의약품 공급망 안정화와 K-원료의약품 산업의 미래’(박완갑 종근당바이오 대표), ‘글로벌 제조혁신기술 동향과 우리의 대응’(정진현 서울대학교 교수)이 발표된다. 이어 이관순 지아이디파트너스 대표가 좌장을 맡아 품질 혁신(이삼수 하나제약 사장), 스마트팩토리(이전평 대웅제약 생산본부 오송센터장), 연속공정(소진언 LG화학 CMC연구소장), 제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