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호야렌즈 ‘내가 보던 시야 그대로’ 젊고 건강한 시력 응원하는 ‘EYES STAY YOUNG’ 캠페인 성료 한국호야렌즈, 누진렌즈 제품군 정품인증 구매자 대상, 스타일링·메이크업·프로필 촬영 지원 경품 이벤트부터 아이메이크오버(EYE MAKE OVER)까지, 캠페인 통해 노안 소비자들의 누진렌즈 제품군 구매·교환 독려 및 건강한 시니어 라이프 응원 (대표 정병헌)는 프리미엄 누진렌즈 제품군 구매 고객을 대상으로 스타일링·메이크업·프로필 촬영을 지원하는 ‘EYES STAY YOUNG’ 캠페인을 성료했다고 11일 밝혔다. 이번 캠페인은 ‘내가 보던 시야 그대로’라는 주제로 진행됐으며, 더 많은 노안 소비자들이 누진렌즈 제품군을 경험할 수 있도록 독려하고자 기획했다. 이벤트 모집 기간은 2024년 6월 1일부터 7월 20일까지 약 두 달간 진행됐으며, 당첨자는 호야 누진렌즈 구매자 중 영수증과 보증카드 사진을 제출 완료한 응모자 중에서 추첨을 통해 선정됐다. 이번 이벤트는 약 1300명의 응모자 수를 기록하며 성황리에 마무리됐으며 최종 선정된 4인의 당첨자들에게는 헤어·스타일링·메이크업을 받고 프로필을 촬영하는 특별한 기회가 주어졌다. 당첨자들은 아이(EYE)
멀츠 에스테틱스 코리아, 톡신 내성 예방 중요성 확산하는 ‘내성( ) 캠페인’ 전개 · ‘내성격’, ‘내성질’, ‘내성적’, ‘내성의’ 4가지 테마로 구성된 캠페인으로 제오민®의 다양한 가치 조명 · 의료진 대상 보툴리눔 톡신 내성 예방 중요성 메시지 전달… 올바른 톡신 시술 문화 조성 기여 내성격/내성질/내성적/내성의 알면서 캠페인’ 브로셔 글로벌 에스테틱 리딩 기업 멀츠 에스테틱스 코리아(대표 유수연, 이하 멀츠)가국내 의료진을 대상으로 보툴리눔 톡신 내성 및 올바른 톡신 시술에 대한 관심을 촉구하고 내성 예방에 대한 중요성을 지속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내성( ) 캠페인’을 이달부터 전개한다고 밝혔다. 멀츠는 보툴리눔 톡신 내성에 대한 메시지 확산을 통해 내성발생 가능성을 최소화한 자사 보툴리눔 톡신 제제 제오민®의 가치를 부각하고 안전한의료 시술 문화를 만들어 나가는 의료진들을 응원하고자 ‘내성 ( )캠페인’을 기획했다. 이번 캠페인은 총 4가지테마 ▲내성격(格; 격식 격), ▲내성질(質; 바탕질), ▲내성적(成績; 이룰성, 길쌈할 적), ▲내성의(誠意; 정성 성, 뜻의)로 구성된 시리즈 캠페인이다. ‘보툴리눔 톡신은 다 다릅니다’라는 전체 캠페인을 관
한국베링거인겔하임·한국릴리, 세계 콩팥의 날 맞아 만성콩팥병 예방 위한 '314 캠페인' 진행 l 심혈관질환 발병 위험·삶의 질 저하 유발하는 만성콩팥병 예방·관리 팁 담은 인포그래픽 공개 l 콩팥 악화 위험 인자 있을 시 정기적 소변 검사·혈액 검사와 생활습관 개선·적절한 치료 필요 한국베링거인겔하임·한국릴리가 세계 콩팥의 날을 맞아 '314 캠페인'을 통해 만성콩팥병을 예방하기 위한 콩팥 관리 팁을 발표했다. 한국베링거인겔하임(사장 안나마리아 보이)과 한국릴리(사장 크리스토퍼 제이 스톡스)는 3월 14일 '세계 콩팥의 날(World Kidney Day)'을 맞아 만성콩팥병을 예방하기 위한 '314 캠페인'을 13일 진행했다. 매년 3월 둘째 주 목요일은 세계신장학회(ISN)와 국제신장재단연맹-세계신장연맹(IFKF-WKA)이 콩팥 건강 관리 중요성에 대한 인식 제고를 위해 제정한 세계 콩팥의 날이다. 한국베링거인겔하임과 한국릴리는 올해 세계 콩팥의 날인 3월 14일에서 착안한 '314 캠페인'을 통해 만성콩팥병을 예방하기 위한 콩팥 관리 팁을 담은 인포그래픽을 공개했다. 만성콩팥병은 콩팥 기능 저하가 3개월 이상 지속되는 질환이다. 콩팥 기능이 떨어지면 심
“전이성 대장암 환자의 OS를 구하다” 차세대 전이성 대장암 치료제 프루자클라 국내 허가 프루자클라, 전이성 대장암 후기 치료 단계에 새로운 치료옵션으로 등장 VEGFR-1, 2, 3 만 선택적으로 타깃, 임상 연구 결과 전체 생존기간(OS) 개선 및 안전성 프로파일 확인1 프루자클라 허가 및 3월 대장암 인식의 달 기념하며 임직원 사내행사 진행 ] 한국다케다제약 임직원들이 프루자클라 국내 허가 및 3월 대장암 인식의 달을 기념해 ‘전이성 대장암 환자의 OS를 구하다’ 행사를 진행하고 있다. 한국다케다제약은 자사의 전이성 대장암 치료제 ‘프루자클라(성분명: 프루퀸티닙)’가 지난 6일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국내 품목 허가 승인을 획득했다고 13일 밝혔다.1 프루자클라의 효능·효과는 이전에 플루오로피리미딘, 옥살리플라틴, 이리노테칸을 기본으로 하는 항암화학요법과 항 VEGF 치료제 또는 항 EGFR 치료제(RAS 정상형(wild type)의 경우)로 치료받은 적이 있고, 트리플루리딘/티피라실 및/또는 레고라페닙으로 치료시 질환이 진행되었거나 내약성이 없는 전이성 결장직장암 성인 환자의 치료다.1 이번 허가를 통해 그간 후기 항암 단계에서 제한적 치료옵
아르테힐링센터 백석균 원장, 신경세포 보호 신물질 '기억나' 연구결과 발표 산화 스트레스로부터 신경세포 손상 완화 및 신경전달물질 활성화 확인 치매 환자 내년 100만 명 돌파, 경도인지장애는 300만 명 육박 신경퇴행성 질환 예방 및 치료제 개발 가능성 모색 아르테힐링센터 백석균 원장 연구팀이 13일, 신경세포 보호 신물질 '기억나'의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연구에서는 '기억나'가 신경세포 보호 및 기억력 향상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확인됐다. 정부 조사에 따르면 2023년 65세 이상 노인의 치매 유병률은 9.25%로, 2016년보다 0.25%포인트 하락했으나 여전히 100명 중 9명 이상이 치매를 앓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치매 환자는 올해 97만 명을 웃돌고, 2025년에는 100만 명을 돌파한 후 2044년에는 200만 명을 넘어설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치매 전 단계인 경도인지장애 유병률은 28.42%로 2016년보다 6%포인트 이상 급증했다. 경도인지장애 진단자는 올해 약 297만 명에 달하며, 내년에는 300만 명을 돌파하고 2033년에는 400만 명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조사 결과 노인이 혼자 살거나 교육 수준이 낮을수록 치매에 취
엠디뮨-고려대-성균관대 ‘CAR 세포 유래 나노베지클 활용 정밀 암치료 연구’ 국제 학술지 게재 암 치료의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하는 연구가 국제 학술지에 발표됐다. 엑소좀산업협의회(EVIA) 회원사인 엠디뮨이 ‘BioDrone Award (연구지원 프로그램)’를 통해 고려대학교 박희호 교수, 성균관대학교 박우람 교수 연구팀과 함께 진행한 연구가 세계적 학술지 ‘Advanced Functional Materials’ (IF 19.0)에 게재됐다. 이번 연구는 엠디뮨의 차세대 약물 전달 기술인 ‘BioDrone™’ 플랫폼을 활용해 암 정밀 치료의 효과를 극대화하는 방법을 제시한 점에서 주목받고 있다. 광역학 치료(Photodynamic Therapy, PDT)는 특정 빛을 이용해 종양을 제거하는 치료법이다. 하지만 기존 치료법은 정상 조직까지 영향을 줄 수 있으며, 암 조직 내로 약물이 충분히 전달되지 않는 한계가 있었다. 이번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CAR-T 세포 유래 나노베지클(CNV, Cell-derived Nanovesicle)을 이용하는 혁신적인 접근법을 제안했다. 연구팀은 키메라 항원 수용체(CAR, Chimeric Antigen R
암젠코리아 블린사이토®, 급성림프모구성백혈병 공고요법 적응증 확대 기자간담회 개최 l 블린사이토®, 성인 및 소아 필라델피아 염색체 음성 전구 B세포 급성림프모구성백혈병 환자 대상 공고요법에서 화학요법과의 교차 투여 시 화학요법 단독 투여군 대비 임상적 유의성 확인 2,3,4,5 으로 공고요법 치료 적응증 확대1 l 암젠코리아, 블린사이토® 공고요법 최신 임상연구들 토대로 국내 치료 환경 내 블린사이토® 적응증 확대 의 의 조명 암젠코리아(대표: 신수희)가 12일, 자사의 급성림프모구성백혈병(Acute Lymphoblastic Leukemia, 이하 ALL) 치료제 블린사이토®(Blincyto®, 성분명: 블리나투모맙)의 공고요법 치료 적응증 확대1 기자간담회를 개최했다. 블린사이토®는 세계 최초로 개발된 이중 특이적 T세포 결합체(Bi-specific T-cell Engager, BiTE®)로, 2015년 11월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필라델피아 염색체 음성(Ph-)의 재발 또는 불응성 전구 B세포 ALL 치료 적응증으로 최초 허가를 획득한 이후, 2020년 9월에는 미세잔존질환(Minimal Residual Disease, 이하 MRD)이 0.1% 이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