α-1차단제 장기간 복용과 파킨슨병 발병위험 사이의 연관성 Association of Glycolysis-Enhancing α-1 Blockers with Risk of Developing Parkinson Disease Simmering JE, Welsh MJ, Liu L, Narayanan NS, Pottegard A JAMA Neurol. 2021;78(4):407-413. doi:10.1001/jamaneurol.2020.5157 서론 파킨슨병은 지속적으로 악화되는 신경퇴행성 질환으로, 전세계에서 1억명 이상의 환자가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파킨슨병의 발병 기전은 정확하게 알려져 있지 않으며 여러 가지 병인이 작용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 중 에너지 대사의 이상은 이전부터 파킨슨병의 발생과 연관될 것으로 예상되어 이를 개선하는 약제가 파킨슨병을 예방하는데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추측되는 추세이다.Terazosin은 포도당 분해에서 ATP를 생산하는 첫번째 효소인 phosphoglycerate kinase 1(이하 PKG1)에 결합하여 그 활성을 증가시킨다. 이 약제는 뇌혈류장벽(blood brain barrier)을 건너갈 수 있고, 뇌에서도 세포 내 A
진피에는 섬유아세포가 존재하여 콜라겐과 엘라스틴 섬유를 생산한다. 콜라겐과 엘라스틴 사이에는 히알루론산이 채워져 있는데 히알루론산이 부족하면 빈 공간이 많아 탄력과 보습력이 떨어진다. 히알루론산은 우리 몸에서 생성되는 물질로 대개 자기 무게의 1,000배 정도의 수분을 끌어안아 진피 내 보습을 책임진다. 즉, 진피에 콜라겐, 엘라스틴, 히알루론산이 많을수록 피부는 좋다. 갓 태어난 아이에게 풍부한 콜라겐, 엘라스틴, 히알루론산은 나이가 들수록 줄어들어 30대에는 콜라겐이 절반, 히알루론산은 1/20 수준으로 떨어진다. 이러한 배경으로 피부 보습과 탄성, 특히 노화 피부 개선의 목적으로 히알루론산에 대한 연구가 많이 이뤄져 왔다. 그런데 단상형 히알루론산보다 더 좋은 효과를 나타내는 입자형 히알루론산은 정확한 깊이로 주입하는 것이 결과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 이에 입자형 히알루론산인 레스틸렌 비탈을 어떤 방법으로 적용했을 때 가장 극대의 효과를 얻을 것인지를 두 개의 아티클에 대해 기반으로 제시해 본다 . 어떤 약제가 가장 좋을까?안정형의 히알루론산(stabilized hyaluronic acid, S-HA)은 연조직(soft tissue)의 증대와 피부 보습
BACKGROUND / OBJECTIVES잘못 설계된 라벨 및 포장은 투약 오류에 중요한 기여를 한다. 개선시킬 수 있는 라벨이나 투약 도구의 특성을식별하기 위해 도구의 특성(즉, 유형, 복잡한 마킹)과 라벨 및 투약 도구의 측정 단위 불일치에 의해 영향을 받는 투약 오류 비율의 정도를 건강지식과 언어의 차이에 따라서 조사했다. METHODS3개 도시 소아과 의원에서 무작위 대조 실험을 하였다. 8세 이하 자녀를 둔 영어 또는 스페인어를 사용하는 부모(n=2,110)들을 5개 중 1개의 연구군에 무작위 배정시켰고, 다양한 단위-쌍으로 변화시킨 라벨과 투약 도구를 주었다. 각 부모들은 9개의 약물 용량(3개 용량 2.5, 5, 7.5 mL, 3개 도구 1컵, 0.2 mL와 0.5 mL단위의 주사기 2종)을 무작위로 측정하였다. 평가변수로 용량 오류를 평가하였다(>20% 편차; 2회 이상의 경우 큰 오류로 정의). RESULTS84.4%의 부모가 1회 이상의 투약 오류를 보였다(21.0%≥1 대 오류). 건강 지식과 언어군에 따라주사기보다 컵에서 더 많은 오류들이 보였으며(조정된 odds ratio=4.6, 95% CI 4.2-5.1), 특히 작은 용량에서 더
BACKGROUND / OBJECTIVES지단백(a)의 수치 상승은 심혈관 질환(CVD)의 위험인자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제2형 당뇨병에서는 데이터가 한정적이고 일관성이 없다. 이 연구의 목적은 제2형 당뇨병에서 지단백(a) 농도와 새로 발병한 CVD와의 상관관계를 조사하는 것이다. METHODS2003년 3월부터 2004년 12월, CVD 기왕력이 없는 제2형 당뇨병 환자를 지속적으로 등록시켰다. CVD는 관상동맥질환 또는 허혈성 뇌졸중의 발생으로 정의하였다. Cox 비례위험모델은 혼란변수 조정 후 지단백(a)과 CVD 사이의 관련성을 식별하는데 사용하였다. RESULTS등록한 1,183명의 환자 중 833명은 추적기간 11.1년(중앙값) 동안 평가하였다. 총 202명이 CVD (24.2%)로 진단되었다. 제 1 및 제 4 사분위군의 지단백(a) 중앙값은 5.4(3.5에서 7.1)와 55.7 ㎎/dL (43.1에서 75.3)이었다. CVD가 없는 환자들과 비교해 CVD를 동반한 환자들의 나이가 더 많았고, 당뇨병과 고혈압 발병기간이 더 길었으며, 기저시점에 더 많은 인슐린 및 ACE억제제/ARB를 복용하고 있었다. Cox 위험회귀분석 결과 CVD
OBJECTIVES이 연구의 목적은 metformin 단독 치료를 받고 있는 제2형 당뇨병 환자(T2D)에서 기초 과잉혈당증(basal excessglycaemia, BEG)과 식후 과잉혈당증(prandial excess glycaemia, PEG)이 총체적인 과잉혈당증에 기여하는 바를확인하기 위함이다. METHODSMetformin 단독 치료를 받고 있는 T2D 외래 환자(n=46)에게 연속적인 혈당 모니터링(CGM)을 실시하였고,HbA1c에 따라 삼분위로 분류하였다. 각 CGM 추적을 위해 혈당 AUC>5.5 mmol/L는 AUCoverall로 표현하였으며 총체적인 과잉혈당증을 대표하였다. 아침, 점심 및 저녁 식사 후 4시간 때의 식전 혈당 수치에 대한 혈당 AUC의 합은 AUCpeg로 표시하였으며, PEG를 대표하였다. 총체적인 과잉혈당증에 대한 PEG의 기여도는(AUCpeg/AUCoverall)×100%로 계산하였다. BEG의 기여도는 [(AUCoverall-AUCpeg)/AUCoverall]×100%로 계산하였다. PEG 기여에 관련된 인자들도 함께 분석하였다. RESULTSBEG는 모든 HbA1c의 삼분위에서 절반 이상의 총체적인 과잉혈당증을 구
BACKGROUND소아 편두통의 두통을 예방하기 위해 사용하는 약물(있는 경우)은 확립되어 있지 않다. METHODS편두통을 앓고 있는 8-17세의 어린이와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amitriptyline (1 mg/kg/day), topiramate (2 mg/kg/day), 위약에 대한 무작위, 이중맹검, 위약대조 연구를 실시하였다. 환자들을 2:2:1 비율로 두 약물과 위약군으로 무작위 배정하였다. 일차 평가지표는 24주간의 연구에서 마지막 28일에 편두통이 발생한 날의 수가 기저시점의 28일과 비교해 50% 이상의 상대적 감소로 하였다. 이차 평가지표는 두통관련 장애, 두통 일수, 연구 완료자의 수, 치료기간 동안 생긴 중대한 이상반응이었다. RESULTS총 361명이 무작위 배정되었고, 328명이 1차 효능 분석에 포함되었다(amitriptyline군 132명, topiramate군 130명, 위약군 66명). 연구는 계획된 중간 분석 후에 조기 결론을 내렸다. 1차 평가지표의 결과에서 각 군간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Amitriptyline군에서 52%, topiramate군 55%, 위약군 61%에서 1차 평가지표의 결과를 얻었다. 또한, 두통관련
BACKGROUND 규제 지침에서는 제2형 당뇨병 환자에서 과도한 심혈관계 위험을 배제시키기 위해서 새로운 당뇨병 치료의 심혈관계 안전성을 확립할 필요성을 명시하고 있다. 제2형 당뇨병에서 GLP-1 analogue, semaglutide의 심혈관계 효과는 알려져 있지 않다. METHODS 제2형 당뇨병 환자 3,297명을 무작위로 배정하여 104주 동안 주 1회 semaglutide (0.5 mg 또는 1.0 mg) 또는 위약을 투여하였다. 1차 복합 예후는 심혈관계 사망, 비치명적 심근경색 또는 비치명적 뇌졸중의 첫번째 발생으로하였다. 1차 예후에서 semaglutide는 위약과 비교해 비열등할 것이라고 가정하였다. RESULTS 기저시점에서 환자 2,735명(83.0%)은 심혈관계 질환, 만성신장질환, 또는 두 질환 모두를 동반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일차 예후는 semaglutide군 1,628명 중 108명(6.6%), 위약군 1,649명 중 146명(8.9%)에서 발생하였다(위험비 0.74, 95% CI 0.55-0.95, 비열등성 p<0.001). 비치명적 심근경색은 semaglutide군 2.9%, 위약군 3.9%에서 발생하였다(위험비 0.74,
불량 이식 기능(poor graft function, PGF)은 동종 조혈 모세포 이식(동종-HSCT) 후 심각한 합병증이다. 쥐 동물 연구에서 내피전구세포(EPC)는 골수(BM)의 미세환경에서 조혈줄기세포(HSC)에 대한 우선적 지지 세포임을 시사하고 있다. 이전 작업에서 BM EPC의 개수 감소는 동종-HSCT 후 PGF 발생에 대한 독립적인 위험 인자임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BM EPC의 기능적 역할과 PGF에서 손상된 BM EPC를 어떻게 개선시키는 것인지 알려져 있지 않다.본 연구에서는 동종 이식 후 PGF 피험자에서 BM EPC의 기능을 평가하였다. 또한, 우리는 atorvastatin이 in vitro에서 PGF 피험자에서 유래된 BM EPC의 개수와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지 여부를 조사하였다.기능장애 BM EPC는 손상된 증식, 이동(migration), 혈관신생 및 높은 수치의 반응성 산소종 및 세포사멸을 특징으로 하고 있으며 PGF 피험자에서 드러났다. p38의 활성화와 그의 후속 전사 인자 cAMP-반응 요소-결합 단백질(CREB)은 PGF 피험자의 BM EPC에서 발견되었다. 게다가, PGF 피험자로부터 유래된 BM EPC의 개수
BACKGROUND 전립선 특이 항원(prostate-specific antigen, PSA)으로 검출되는 전립선암 치료의 상대적 효능은 불확실하다. METHODS 1999년부터 2009년 사이에 50-69세의 남자 82,429명이 PSA 테스트를 받았다. 2,662명이 국소 전립선암 진단을 받았고, 1,643명은 무작위 배정되어 국소 전립선암 치료를 위해 능동 모니터링(545명), 수술(553명), 또는 방사선 치료(545명)을 시행하는데 동의하였다. 1차 예후는 추적기간 10년(중앙값) 시점의 전립선암 사망률, 2차 예후는 질환의 진행률, 전이, 모든 원인에 의한 사망률로 하였다. RESULTS 전체적으로 17건의 전립선암 특이 사망이 있었다. 능동 모니터링군에서 8건(1000명년 당 1.5 사망; 95% CI 0.7-3.0), 수술 군에서 5건(1000명년 당 0.9 사망, 95% CI 0.4-2.2), 방사선 치료군 4건(1000명년 당 0.7 사망, 95% CI 0.3-2.0). 각 군간에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는 차이는 없었다(p =0.48). 게다가, 어떤 원인에 의한 사망수에서도 각군간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총 169건의 사망, p =0.98)
경피적 관상동맥중재술(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PCI)을 실시한 45세 이하 관상동맥질환 환자에서 위험인자의 유병률 트랜드, 병소의 형태, 임상적 예후에 대한 데이터는 bare-metal 스텐트(BMS; 1994년-2002년) 시대와 약물방출 스텐트(DES; 2003년-2012년) 시대로 제한적이다. Cleveland Clinic의 PCI 데이터베이스에서, 1994년부터 2012년에 PCI 시술을 행하고 관상동맥 우회술 경력이 없는 45세 미만 환자1,640명을 선별하였다. 883명은 평균 추적기간 13.15년의 BMS 시대 코호트, 757명은 평균 추적기간 5.02년의 DES 시대 코호트였다. DES군에서 비만(51.8% vs 44.7%, p0.001)과 당뇨병(23.0% vs 19.5%, p =0.09) 환자들이 더 많이 포함되었다. 또한 DES군에서 B2C 병소가 더 많았고(74.0% vs 32.5%, p0.001), 좀더 중증의 시술전 협착이 많았으며(86.1 ± 12.9 vs 72.2 ± 21.3, p0.001), 병소가 길었다(15.5 ± 9.9 vs 9.6 ± 6.8, p0.001). DES와 BMS 시대간
식약처·코트라·제약바이오협, 인니 공략 공조 체계 가동 인니 정부 환대속 제약기업 15개사 등 포함 대규모 민·관 대표단 파견 - - ‘한-인니 제약 심포지엄’ ‘규제당국 양자회의’ ‘1:1 수출상담회’ 등 개최 – - 세계 4위 인구 대국&아세안·할랄벨트 거점인 인도네시아 공략 본격화 – 미국의 압박에 따른 글로벌 빅파마들의 탈중국 여파 등으로 주목받고 있는 아세안 시장 공략을 위한 우리 정부와 산업계의 민·관 공조체계가 한층 강화되고 있다. 특히 식품의약품안전처(식약처)와 코트라(KOTRA·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한국제약바이오협회 등이 처음으로 공동 협력체계를 구축해 인도네시아에서 국내 제약바이오기업 등이 대거 참여한 행사를 열어 현지의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다. 한국제약바이오협회(회장 노연홍)는 식약처, 한국혁신의약품컨소시엄(KIMCo), 15개 국내 제약바이오기업 등으로 구성된 민·관 대표단이 11일부터 인도네시아 자카르타를 방문해 인도네시아 식약청(BPOM), 현지 기업 등과 다양한 협력사업을 진행하고 있다고 12일 밝혔다. 김상봉 식약처 의약품안전국장과 이재국 협회 부회장을 공동단장으로 한 대표단은 ▲한-인니 제약 심포지엄 ▲규제당국 양자회
GE 헬스케어, 세계 심장의 날 맞아‘심장 초음파 마스터 코스 웨비나’ 라이브 개최▪ 일반/전문 심장 초음파부터 응급 심장 초음파까지 다양한 주제 다뤄 GE 헬스케어 코리아(대표이사 사장 김용덕)는 세계 심장의 날(9 월 29 일)을 맞아‘GE 헬스케어 마스터 코스 심장 초음파 웨비나(GE HealthCare Master Course Webinar)’ 시리즈를 개최한다고밝혔다. 심장 초음파 웨비나는 9 월 5 일부터 19 일까지 총 3 회에 걸쳐 라이브로 진행되며, 심장 및 응급 의학전문 의료진을 대상으로 한다. GE 헬스케어는 이번 웨비나를 통해 심장 맞춤형 솔루션 포트폴리오를 바탕으로 최신 기술을 통한 진단과 치료에대한 정보를 공유할 예정이다. 또한 심장 초음파의 기본적인 진단 활용 기술과 상급 병원으로의 전원이 요구되는 전문 심장 초음파 검사, 응급실에서 활용되는 심장 초음파 등 다양한 임상 사례를 폭넓게 다룬다. 9 월 5 일(목)과 12 일(목) 에는 심편한 내과의원 김지희 원장이 연자로 ‘심장 초음파 검사의 A to Z, 상급병원 전원이 필요한 전문 심장초음파 검사의 실제 케이스’ 라는 주제로 강연을 진행하며, 19 일(목)에는 단국대학교병원 응급
한국임상고혈압학회, 연휴 맞아 대국민 고혈압 알리기 나서 한국임상고혈압학회(회장 이혁, 이하 학회)가 추석 연휴를 맞아 대국민 고혈압 알리기에 나선다. 학회는 추석 기간 중 많은 사람들이 가정혈압 측정을 실천하고 고혈압 환자들이 혈압약을 챙겨서 혈압 관리에 소홀하지 않도록 카드뉴스를 배포하기 시작했다. 학회는 연휴 기간 중에도 유튜브 채널 '알기 쉬운 고혈압'(www.youtube.com/@HomeBPKorea)을 통해 고혈압 캠페인을 지속할 계획이다. 이 채널은 ‘누구나 가정에서 혈압을 재고 혈압을 2 mmHg 더 낮추자’를 모토로 지난 5월부터 꾸준히 영상 콘텐츠를 업로드해 오고 있다. 학회 이혁 회장(힘내라내과의원)은 “명절에 만나는 3명 중 한 명은 고혈압을 갖고 있다. 함께 혈압도 재고 건강을 주제로 얘기를 나누는 계기가 되었으면 한다”며 캠페인의 취지를 밝혔다. 한편 학회는 고혈압 환자를 자주 만나는 일차진료 의사를 위한 웨비나 아카데미도 시작한다. 오는 19일부터 온라인 의학강의 플랫폼인 닥터빌(www.doctorville.co.kr)을 통해 ‘고혈압과 관련 질환’을 주제로 고혈압의 진단과 치료부터 가정혈압 측정, 생활습관(식사, 운동), 심장초
아미덴, 국산 제작 귀여운 동물 '캐릭터 탈부착 칫솔걸이' 출시 펭귄, 부엉이, 판다, 웰시코기, 고양이 등 5종 캐릭터 디자인으로 소비자 취향 저격 강력 접착력과 반복 사용 가능한 실용적 기능 갖춘 국내 자체 제작 제품 치과 및 판촉용 대량 주문 OEM 생산으로 시장 공략 나서 구강제품 전문기업 아미덴(대표 강희문)이 국내에서 자체 제작한 '캐릭터 탈부착 다용도 칫솔걸이'를 새롭게 선보였다. 이 제품은 귀여운 동물 캐릭터 디자인과 함께 우수한 품질의 실용적 기능을 갖춰 중국산 저가 제품과의 차별화를 꾀하고 있다. '아미덴 캐릭터 탈부착 다용도 칫솔걸이'는 펭귄, 부엉이, 판다, 웰시코기, 고양이 등 5종의 귀여운 동물 캐릭터로 디자인되었다. 국내 생산으로 품질 관리가 철저히 이루어져 내구성과 안전성이 뛰어나다는 점이 특징이다. 제품의 실용성도 돋보인다. 특수 제작된 접착 스티커로 다양한 표면에 부착 가능하며, 위치 변경과 재사용이 쉽다. 칫솔뿐 아니라 다양한 소형 생활용품 보관이 가능해 활용도가 높다. 주요 장점으로는 ▲국내 자체 제작을 통한 우수한 품질 ▲귀여운 동물 캐릭터 디자인 ▲반복 사용 가능한 접착 스티커 ▲강력한 접착력 ▲다양한 표면 부착 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