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다케다제약, 유전성 혈관부종(HAE) 급성 부종 증상 치료제
‘피라지르®프리필드시린지’ 1회 처방 시 최대 4회분까지 급여 확대
- 유전성 혈관부종, 환자마다 부종의 빈도와 중증도, 증상 발생부위가 다양한 희귀질환으로 증상 예측조차 어려워 응급 상황 발생 시 신속한 대처 요구돼
- 유전성 혈관부종 급성 부종(acute attacks) 증상 치료제 피라지르®, 기존 2회분에서 최대 4회분까지 처방 가능하도록 급여기준 확대돼 환자들의 치료 접근성 개선
- 예측할 수 없는 급성 부종 증상으로 인해 신체적 위축과 심리적 불안 속에서 살아가는 환자들의 미충족 수요를 해소하는 데 중요한 의미를 가지는 진전
한국다케다제약은 자사의 유전성 혈관부종(HAE) 급성 부종(acute attacks) 증상 치료제 ‘피라지르®프리필드시린지(Firazyr®, 성분명: 이카티반트아세테이트, 이하 피라지르®)’의 건강보험 급여 적용범위가 12월 1일부터 처방 당 최대 4회분으로 확대 적용됐다고 밝혔다.
한국다케다제약 피라지르®프리필드시린지
보건복지부가 고시한 ‘요양급여의 적용기준 및 방법에 관한 세부사항(약제)’ 일부개정안에 따라 피라지르®의 급여 인정 기준이 처방당 기존 2회분에서 최대 4회분으로 확대됐다. 개정된 기준에 따르면, 이전에 누적 3회 이상 자가 투여 경험이 있는 환자 중 최근 3개월간 ▲월 1회 이상 급성 부종 증상을 경험하거나 ▲한 번 이상의 추가 투여가 필요했던 급성 부종 증상을 겪은 환자에서 1회 처방 시 최대 4회분까지 급여가 적용된다.2
피라지르®는 2014년 6월 국내 허가 이후, 2018년 9월 성인 환자를 대상으로 1회분 급여가 적용됐으며, 이어 2019년 7월에는 만 2세 이상의 소아까지 사용 연령을 확대해 다양한 연령대에서 응급상황에 신속히 대처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 2021년 3월부터는 처방당 2회분까지 급여가 시행되며 추가적인 급성 부종 증상에 대비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됐다.
이번 급여 확대는 발생 시점과 중증도를 예측하기 어려운 급성 부종의 특성상, 처방당 최대 2회분 급여 인정의 한계와 국내 HAE 환자들의 치료 접근성 강화를 위한 필요성이 반영된 결과다. HAE 환자들은 첫 급성 부종 증상 발생 시 잔여 보유 중인 치료제 부족에 대한 우려로 인해 초기 증상에도 약물 사용을 주저하는 상황이 반복됐다. 이는 국제 치료 지침의 '급성 부종 증상 발생 초기에 신속히 치료해야 한다'는 권고사항과 상충되며, 환자 및 의료진은 유전성 혈관부종 질환 관리의 적시성과 안전성 측면에서 개선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를 지속 제기했다.
이에 보건복지부와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은 교과서, 임상진료지침, 전문가 의견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해 잦은 급성 부종 증상을 경험했거나 추가 투여가 필요했던 환자를 대상으로 피라지르®의 급여를 처방당 4회분까지 확대하기로 결정했다.2 이는 기존 처방당 최대 2회분 급여 시행 이후 약 3년 9개월 만에 이뤄진 조치로, 국내 유전성 혈관부종 환자들을 위한 안정적인 치료 환경을 제공하고, 미충족 의료 수요를 해소하기 위한 한국다케다제약의 지속적인 노력이 담긴 결과로 평가된다.
한국다케다제약 희귀질환 사업부 김나경 총괄은 “이번 피라지르® 급여 확대는 국내 유전성 혈관부종 환자들에게 치료 접근성을 한층 강화하며, 국제 치료 가이드라인의 ‘급성 부종 증상 발생 초기에 신속히 치료해야 한다’는 권고사항을 실현한 중요한 진전”이라고 밝혔다. 이어 “급성 부종 증상으로 인해 불안과 위험 속에서 살아가는 환자들에게 더 안정적인 치료 환경을 제공할 수 있게 돼 기쁘게 생각한다”며, “한국다케다제약은 앞으로도 환자들이 생명을 위협할 수 있는 급성 부종으로부터 보다 나은 환경에서 치료받을 수 있도록 지원하며, 의료 사각지대에서의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유전성 혈관부종은 체내 ‘C1-에스테라제 억제제’ 결핍 혹은 기능 이상으로 인해 두드러기나 가려움증 없이 반복적으로 혈관부종을 유발하는 희귀질환이다. 특히, 급성 부종이 상부 호흡기나 소화기관에 발생할 경우 기도폐색과 장폐색으로 이어질 수 있어10 신속하고 적절한 대응이 필수적이다. 급성 부종은 수 시간 내에 발생해 최대 5일까지도 증상이 지속될 수 있으며, 부종의 중증도를 가늠할 수 없다.7
피라지르는 C1-에스테라제 억제제 결핍으로 인한 만2세 이상 유전성 혈관부종의 급성 부종(acute attacks) 증상에 사용되는 응급 치료제로,3 브래디키닌(Bradykinin)의 혈관 확장 작용을 차단해 2시간 내 급성 부종을 완화한다. 프리필드시린지(사전 충전형 주사기) 형태로 제공되기 때문에 의료 전문가의 적절한 지도를 받은 환자는 응급 상황에서도 스스로 피하 주사를 투여할 수 있어 신속한 대처가 가능하다.3
# # #
본 자료는 기자님의 의약품에 관한 이해를 돕고 정확한 기사작성을 위한 정보제공의 참고자료로 제공되며, 게재되는 기사의 작성은 기자님의 전문적인 판단에 의하여 이루어져야 합니다.
피라지르 제품설명서 전문은 식약처 의약품안전나라의 제품허가사항을 참고하시 바랍니다. (https://nedrug.mfds.go.kr/pbp/CCBBB01/getItemDetail?itemSeq=201402853)
Copyright © 2024 Takeda Pharmaceutical Company Limited. All rights reserved. Takeda and the Takeda Logo are trademarks of Takeda Pharmaceutical Company Limited, used under license. All trademarks are the property of their respective owners.
다케다제약에 대해
다케다제약은 ‘인류를 위한 보다 건강한 삶과 세상을 위한 더 나은 미래(better health for people and a brighter future for the world)'를 만드는 데 집중하고 있다. 다케다제약은 소화기 및 염증 질환, 희귀질환, 혈장유래제제, 암 질환, 신경계질환, 백신 등을 포함한 핵심 치료 분야 및 비즈니스 영역에서 삶을 변화시키는 치료법을 발견하고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다. 회사는 파트너들과 함께 역동적이고 다양한 파이프라인을 통해 환자 경험 개선과 새로운 치료 옵션 개발을 목표로 한다.
다케다제약은 일본에 본사를 둔 선도적인 가치 기반 및 R&D 주도의 바이오제약기업으로서, 환자와 직원, 환경에 대해 헌신하고 있다. 약 80개 국가와 지역의 직원들은 회사의 목표에 따라 활동하고 있으며, 두 세기 이상 다케다제약을 정의해 온 가치에 기반을 두고 있다. 보다 자세한 정보는 https://www.takeda.com에서 확인할 수 있다.
한국다케다제약에 대해
한국다케다제약은 2011년 4월 국내에 설립된 이래로 ▲유연한 소통문화 ▲수평적 기업문화 ▲탁월한 직원 경험 ▲동반 성장 등을 중시하고 있다. 회사의 모든 성과는 환자의 건강 증진을 최우선으로 하는 기업 이념과 ‘성실(Integrity)’의 핵심 가치를 중시하는 다케다제약의 가치에 기반하고 있다.
또한 지속가능경영에 기반해 ‘건강문해력 제고’와 더불어 ‘엔젤스푼 데이’, ‘반려나무 입양 및 양육 봉사 활동’ 등의 사회공헌활동으로써 한국 사회에 실질적인 도움을 전달하고 상생하기 위해 힘쓰고 있다.
Chong-Neto, H. J. (2023). A narrative review of recent literature of the quality of life in hereditary angioedema patients. World Allergy Organization Journal, 16(3), 100758.
식품의약품안전처, 의약품안전나라 의약품통합정보시스템, 의약품상세정보, 피라지르, Available at: https://nedrug.mfds.go.kr/pbp/CCBBB01/getItemDetailCache?cacheSeq=201402853aupdateTs2024-11-18%2010:50:08.0b, Accessed in December 2024
식품의약품안전처, 의약품안전나라 의약품통합정보시스템, 의약품상세정보, 피라지르 용법용량 변경이력, Available at: https://nedrug.mfds.go.kr/pbp/CCBBB01/getItemChangeHistInfo?itemSeq=201402853&changeIemCode=107, Accessed in December 2024
Bernstein, J. A. (2018). Severity of hereditary angioedema, prevalence, and diagnostic considerations. Am J Manag Care, 24(14 Suppl), S292-S298.
삶을 위협하는 희귀질환의 치료환경 개선을 위한 정책적 지원 모색, 김미애 국회의원, Available at: https://ampos.nanet.go.kr:7443/materialSeminarDetail.do?control_no=PAMP10000000076483, Accessed in December 2024
Busse et al, US HAEA Medical Advisory Board 2020 Guidelines for the Management of Hereditary Angioedema, J Allergy Clin Immunol Pract.2021Jan;9(1):132-150
질병관리청. 희귀질환헬프라인. 희귀질환정보. D84.1 C1 에스터레이스억제인자결핍 Available at: https://helpline.kdca.go.kr/cdchelp/ph/rdiz/selectRdizInfDetail.do?menu=A0100&rdizCd=RA201810653, Accessed in December 2024
Cicardi, M., Banerji, A., Bracho, F., Malbrán, A., Rosenkranz, B., Riedl, M., ... & Fan, W. T. (2010). Icatibant, a new bradykinin-receptor antagonist, in hereditary angioedema.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363(6), 532-5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