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혈압이 동반된 전립선비대증 환자에서하이트린의 유용성 “하이트린정(Terazosin)은 고령의 전립선비대증 환자에서 배뇨증상 개선과 혈압 조절을 동시에 할 수 있는 비선택적 알파차단제이다.“ 김동우 과장봉생병원 비뇨의학과 환자 과거력 및 증상67세 남성 환자로 약 1년 전부터 뚜렷해진 지연뇨, 세뇨, 잔뇨감 등의 증상으로 내원하였다. 고혈압약을 복용 중이며 그 외 특이한 병력은 없었다. 진단 및 검사 IPSS, CBC, admission battery, UA, urine C/S, PSA, TRUS, uroflowmetry, DRE를 시행하였다. DRE상 중등도 이상의 비대소견을 보였으며, IPSS 15점(특히, 배출장애), PSA 1.92ng/dL, TRUS상 43mL BPH, UA상 RBC 3-5, WBC 0-1, urine C/S상 no growth, Qmax 9mL/s, voided volume 215mL, CBC, Admission Battery상 특이 소견은 없었다. 치료 검사 결과상 양성 전립선비대증으로 진단되어 하이트린정(Terazosin) 4mg, finasteride 5mg을 병용투여하였다. 2주 후 외래로 방문하였으며, 배뇨증상 특히, 배출
Small prostate(≤30ML) 환자의 하부 요로 증상 치료에서 하이트린(terazosin) 및 하이네콜(bethanechol)의 병행 처방 증상이 호전되지 않는 전립선 크기가 작고 막힘이 없는 환자에서 수술적 치료는 고민이 될 수밖에 없다. 이런 경우 하이트린(terazosin)과 하이네콜(bethanechol)의 병행 처방이 효과가 있을 수 있어 고려할 수 있다. Small Prostate 환자(≤30ML)에서 하이트린(terazosin)과 하이네콜(bethanechol) 병행처방은 급성 요폐의 가능성을 낮추고 소변줄 유치나 간헐적 도뇨(CIC)를 하게 될 가능성을 낮출 수 있다. 환자 과거력 및 증상78세 남성 환자로 빈뇨, 세뇨, 야간뇨 증상과 반복되는 급성 요폐 증상으로 본과 의뢰되었다.이 환자는 본원 내과에서 10년전 부터 tamsulosin 0.2mg으로 복용하다 tamsulosin 0.4mg으로 증량한 상태였고 이후에도 간헐적으로 반복되는 요폐 증상으로 본원 비뇨의학과 협진 의뢰된 환자였다.과거 참전 용사로 우측 하지는 절단 상태였고 좌측 하지 역시 정상적인 기능을 하지 못해 자발적 보행은 불가능한 상태로, 당뇨병과 고혈압 등 기저질환이
다양한 알파차단제에도 시원함을 못 느끼는 환자에서 하이트린정(Terazosin) 5mg의 유용성 전립선 비대증 환자를 진료하다 보면 기존 흔하게 처방되는 약물치료에 만족을 못 느끼는 경우를 가끔 볼 수 있다. 빈뇨, 절박을 포함한 저장증상이 혼합되어 그런 경우도 있지만 폐색증상을 주로 호소하는 경우에도 시원하지 않다고 표현하는 환자가 있다. 이러한 환자에서 하이트린정(Terazosin) 5mg으로 개선된 경험을 나누고자 한다. 염승희 지샘병원 비뇨의학과 과장 환자 과거력 및 증상 67세 남성 환자로, 15년간의 전립선약물치료에도 만족감을 못 느껴 내원하였다. 과거력은 특이사항이 없었으며, 술, 담배도 거의 하지 않는 모범생활자라 하였다. 환자는 IPSS 증상에서 주로 요주저와 잔뇨감을 호소하였다. 진단 및 검사 검사는 PSA를 포함한 기본적인 혈액검사와 전립선초음파검사, 직장수지검사(DRE), IPSS, 요속 및 잔뇨량 검사 등을 시행하였다. 전립선은 32g 크기로<그림 1>. IPSS 설문지 증상 점수에서 특히 요주저와 잔뇨감(5점) 점수가 높았다. 요속 및 잔뇨평가에서 최대요속까지 도달시간이 느렸으며, 최대요속도 12m/s로 약했으며 29cc의
일차 치료약제로 Terazosin이 선택되는 전립선 비대증 환자의 적응증 초진 환자 중 전립선 용적이 50cc 이상이며, 요속 검사상 스파이크 타입의 저항성 요류를 보이는 경우 일차 치료약제로 하이트린(Terazosin) 10mg 사용을 고려해 볼 수 있다. 안지훈 과장 목포시의료원 비뇨의학과 과거력 및 증상 64세 남성으로 3개월전부터 시작된 세뇨, 단헐뇨, 주저뇨 등의 증상으로 내원하였다. 환자는 과거력상 고혈압에 대하여 약물치료 중이었으며 이전 전립선비대증 치료 과거력은 없었다. 진단 및 검사방법 검사는 PSA를 포함하여 일반혈액검사, 신기능검사 및 전해질 검사 등 기본적인 혈액검사를 시행하였으며, 요적혈구분포도검사를 포함하는 요일반검사를 시행하였다. 또한 전립선검사를 위하여 전립선초음파 검사, 직장수지검사(DRE), IPSS, 요속 및 잔뇨검사(UF&PVR)를 시행하였으며, 신장 및 방광의 구조이상을 판단하기 위해서 복부CT (Nonenhance Abdomen CT)를 시행하였다. 검사 결과 직장수지검사 결과 종괴는 만져지지 않았으며, 중등도의 크기로 촉지되었다. IPSS 설문지 증상 점수는 27+5점으로, 특히 하부요로폐색 부분 점수가 높게
고지혈증을 동반한 전립선 비대증 환자에서 하이트린 사용의 유용성 전립선 비대증 환자를 진료하다 보면 고지혈증이 동반된 경우를 흔히 볼 수 있다. 다양한 알파차단제를 사용할 수 있지만, 혈중 지질에 유용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진 하이트린의 사용을 좀 더 권유될 수 있겠다. 장영섭 교수 건양의대 건양대병원 비뇨기과 환자 과거력 및 증상 65세 남성 환자로, 6개월 전부터 시작된 빈뇨, 야간뇨, 세뇨 및 잔뇨감 등의 증상으로 내원하였다. 과거력으로는 고혈압과 고지혈증이 있으며 약물치료를 하고 있다고 하였다. 진단 및 검사 검사는 PSA를 포함한 간기능 검사, 지질검사 및 신장기능 검사 등 기본적인 혈액검사를 시행하였다. 또한 전립선검사를 위하여 전립선초음파검사, 직장수지검사(DRE), IPSS 등을 시행하였다. 직장수지검사 결과, 노듈은 만져지지 않았으나 전립선은 중등도의 크기로 예상되었고, IPSS 설문지 증상 점수는 21+4로, 특히 소변줄기가 가늘어지는 것(5점)이 크게 불편하다고 체크하였다. 전립선초음파검사 결과, 전립선 크기가 61cc 정도였다. 혈액검사에서 PSA 1.8ng/dL, 중성지방의 증가(220mg/dL), 총 콜레스테롤의 증가(260mg
전립선 비대증 환자 중 전립선 초음파 검사에서 방광내로 돌출이 심한 경우, 하이트린 증량 사용 비대해진 전립선이 방광 내로 돌출하여 A-P length가 긴 경우,처음부터 하이트린 등의 증량이 용이한 약물로 초기 치료를 시작하는 것도 빠른 증상의 호전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강호원 원장 멘파워비뇨의학과의원 환자 과거력 및 증상 55세 남성 환자로, 2~3주 지속된 배뇨통 및 잔뇨감 등의 증상으로 내원하였다. 과거력은 특이사항이 없었으나, 가끔 폭주를 하는 경향이 있다고 하였다.환자는 그람 염색 후 요도염 진단 하에 10여일 치료 후, 배뇨통, 잔뇨감 등의 증상은 호전되었으나, 빈뇨, 세뇨 등의 오래된 증상을 다시 호소하였다. 진단 및 검사 검사는 전립선초음파검사, 직장수지검사(DRE), IPSS자가진단으로 환자의 증상을 진단하였다. 전립선초음파검사 결과, 전립선 크기가 28mg 정도였으나, 전립선이 방광 내로 심하게 돌출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직장수지검사 결과, 전립선이 약간 단단한 정도였고, IPSS 설문지 증상 점수는 17+4로, 특히 소변줄기가 가늘어지는 것(5점)이 크게 불편하다고 체크하였다. 치료 검사 결과를 통해 전립선 비대증으로 진단
방광암으로 척추마취하에 TUR BT 수술 환자에서 수술 후 Terazosin 투여 시 요폐증상 개선 증례 척추마취 하에 수술을 하다 보면 수술후 퇴원 시 도뇨관 제거 후 요폐증상으로 다시 도뇨관을 삽입하는 경우를 종종 볼수 있다. 도뇨관 제거 전 하이트린정(Terazosin)의 사용으로 요폐증상의 호전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구자윤 동남권원자력의학원 비뇨의학과 환자 과거력 및 증상 83세 남성 환자로, 내원 2주 전부터 시작된 혈뇨로 내원하였다. 과거력으로는 당뇨병으로 약물치료를 하고 있다고 하였다. 진단 및 검사 검사는 방광내시경 검사를 시행하였다. 방광내시경 검사상 양측 요관구는 특이사항이 없었으며, 좌측 방광벽에 1.5 cm 크기의 종양이 발견되었다<그림 1>. 병기 설정을 위하여 복부 CT를 실시하였고<그림 2>, 방광 종양 이외에 다른 특이사항은 없었다. 그림 1. Cystoscopy 사진 치료 CT 검사 결과, tumor invades muscularis이나 tumor invades perivesical tissue 소견이 보이지 않는 non-muscle invasive bladder cancer로 진단되어 척추마
큰 직경의 신결석과 전립선비대증이 동반된 환자에서 연성내시경하 신결석 제거술 수술 후 요관부목(D-J stent) 삽입 중 Terazosin 투여로 인한 하부요로증상 및 측복부 통증 개선 효과“ 신결석과 전립선비대증이 동반된 환자에게서 결석수술 후 요관부목 삽입과 관련된 통증 및 하부요로증상에 대하여 용량조절이 쉽고 효과도 우수한 것으로 알려진 하이트린정(Terazosin)을 사용하는 것이 빠른 회복 및 남은 결석 배출에도 어느 정도 도움이 될 수 있겠다.” 김성대 교수 제주의대 제주대병원 비뇨의학과 환자 과거력 및 증상 54세 남성 환자로 수개월 전부터 시작된 육안적 혈뇨를 주소로 한달 전 개인비뇨의학과의원 내원후 큰 병원을 권유받아 타병원으로 내원하였다. 한달 전 타병원에서 비조영증강 복부 단층 촬영장치(non-enhanced CT) 촬영 결과, 2.5cm 정도 큰 직경의 신우요관결석 확인되어 2회 체외충격파쇄석술(Extracorporeal Shock Wave Lithotripsy, ESWL) 시술을 시행하였으나 결석의 크기 변화 없이 크기가 그대로인 상태라고 이야기를 들었으며, 시술 효과가 없어 수술적 치료를 위해 본원으로 전원되었다.환자는 과거력상 고
편측 갈색세포종 환자의 복강경하 부분 부신 절제술 전 혈압조절을 위한 일차 혈압강하제로서의 Terazosin의 안전성과 효과 “하이트린(terazosin)은 선택적 α-1 antagonist로 갈색세포종으로 진단받고 복강경 부분 혹은 전 부신 절제술 전 혈압 조절을 위해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사용이 가능한 1차 약물이다.” 송기현 교수 강원대학교 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 비뇨의학과 환자 과거력 및 증상 47세 여성 환자로 평소 간헐적인 두통, 어지러움, 구역감, 빈혈 등으로 검사한 외부병원 복부 CT상 좌측 4.5*2.9cm의 부신종물이 발견되어 내분비내과로 내원하였다. 환자는 평소 고혈압이 있었으나 약물은 복용하지 않았다고 한다. 진단 및 수술 전 처치 24시간 소변검사상 카테콜아민 상승(norepinephrine 107.3 ug/day, 정상 <80 ug/day)과 메타네프린 상승(normetanephr ine 1.06mg/day, 정상 0mg/day) 소견을 보여 복부 CT 검사 결과와 함께 갈색세포종으로 진단하였다. 수술 전 처치를 위해 하이트린(terazosin) 1mg을 하루 한번 2주간 투여하였다.수술 후 잔존 부신이 명확히 보인다. 수술적 치
하부 요로 증상 환자의 치료 시 사정장애가 심한 환자에서 하이트린정(Terazosin)으로의 교체 투여의 효과 “하부요로증상의 치료에 사용되는 알파차단제들 중 성적활동이 활발한 환자들, 특히 고령이 아닌 비교적 젊은 환자들을 치료 시 좋은 치료 효과를 유지하면서 사정장애를 최소화할 수 있는 약물로써 하이트린정(Terazosin)은 훌륭한 선택이 될 수 있다.” 최 훈 교수 고려의대 고대안산병원 비뇨기의학과 환자 과거력 및 증상 47세 남성 환자로, 수개월간 지속된 지속뇨 및 잔뇨감 등의 증상으로 내원하였다. 자전거를 즐기는 취미 생활 외에 과거력상 특이사항이 없었다. 진단 및 검사 전립선초음파검사를 포함한 기본적인 요검사 및 배양검사를 포함하여, International Prostate Symptom Score (IPSS) 설문으로 환자의 증상을 진단하였다. 전립선초음파검사 결과, 전립선 크기가 18g으로, 직장수지검사 결과상 표면도 매끄럽고 고무처럼 만져졌으며 nodule은 없었다. IPSS 설문지 증상 점수는 21점, 삶의 질 점수 5점으로 일상 생활이 괴롭다고 표현하고 있었다.혈액검사에서 PSA 2.1ng/dL, 소변검사에서 백혈구도 보이지 않았고 균이
입셀 주지현 대표(왼쪽)와 셀로이드 김동성 대표가 계약 체결 후 기념 촬영 입셀 주지현 대표(왼쪽)와 에틱스템 이훈 대표가 계약 체결 후 기념 촬영 입셀(대표 주지현)은 지난 7월 7일(월)과 8일(화) 이틀간 총 60억원 규모의 임상등급 유도만능줄기세포(iPSC) 분양 계약을 체결하며 유도만능줄기세포(iPSC) 기반 세포치료제 시장에서 사업 다각화의 분기점을 마련했다고 밝혔다. 이는 지난 4월 입셀이 세계 최초로 유도만능줄기세포(iPSC) 기반 연골세포치료제 임상에 진입한 데 이어 본격적인 유도만능줄기세포주 분양 사업이 시장에서 안정적으로 자리 잡아가고 있음을 보여주는 결과다. 이번 iPSC 분양 계약은 △서울아산병원(병원장 박승일) △서울아산병원 스핀오프 기업 에틱스템(대표 이훈) △포항공대 스핀오프 기업 셀로이드(대표 김동성) 등 총 3개 기관과 체결됐으며, 모두 마일스톤 기반으로 진행된다. 이 중 업프론트 계약금만 10억원에 이른다. iPSC 분양 계약 외에도 입셀은 △서울아산병원과의 GMP 사용 및 규제과학 컨설팅 계약(6억원, 계약 기간 1년) △울산대학교와의 통합 규제과학 컨설팅 계약(1.5억원, 계약 기간 3개월) △티에스셀바이오(대표 박지민)
대한수면연구학회(회장 신원철, 강동경희대병원 신경과)는 7월 5일 (토) 과 6일 (일) 양일간 서울 백범김구기념관에서 ‘수면의학의 현재와 미래를 잇다’를 주제로 2025년 정기 학술대회를 개최하였다. 이번 학술대회에서는수면의학관련 전문가 및 관계자 약 400여명이 참석하였으며, 기초과학에서부터임상응용, 디지털 헬스/인공지능을 활용한 스마트 수면 솔루션까지폭넓은 분야를 아울렀다. 총 43 개의 세션에서 110개의 강의가 진행 되었으며 특히 Presidential Symposium을 통해 수면의학 분야의 혁신적기술과 미래 발전 방향을 집중 조명하였다. 박경수 상무(삼정 KPMG)가 슬립테크의 현주소와 산업 전망을, 이동헌 대표(에이슬립)는 스마트폰 소리 기반 디지털 의료기기 '앱노트락'의 수면모니터링 기술을 소개하며 디지털 헬스케어의 새로운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아울러 대한수면연구학회 공식 학술지인Journal of Sleep Medicine(JSM)에서는 최우수논문상으로 배효은 교수(이대서울병원신경과)의 "이산화탄소 노출이 불면증 수면 안정성에미치는 영향: 엔벨롭 분석을 이용한 연구" 논문을선정하였다. 또한 우수논문상에는 유재성 연구원(㈜에스옴니, 가톨릭관동대
국내 인슐린펌프 전문기업 (주)수일개발 이 프랑스 인공지능 당뇨병 치료 전문기업 다이아벨루프(Diabeloop: 와의 AID(Automated Insulin Delivery: 자동화된 인슐린 전달 시스템) 프로젝트를 통해 유럽 최대 의료기기 유통회사인 네덜란드의 메디큐(Mediq: ) 와 4년간 약 300억 원 상당의 공급계약을 최근 체결했다고 7일 발표했다. 이번 계약은 수일개발의 혁신적인 인슐린펌프 기술과 다이아벨루프의 인공지능 알고리즘이 결합된 차세대 당뇨병 치료 솔루션이 유럽 시장에서 인정받은 결과로 평가된다. 특히 'AID(자동화된 인슐린 전달 시스템)'는 당뇨병 환자들의 혈당 관리를 혁신적으로 개선할 것으로 기대되며 꿈의 완전 인공췌장에 한발 다가선 기술로 평가된다. 수일개발은 지난 6월 25일 첫 번째 물량으로 약 20억 원 상당의 제품을 독일로 수출했다고 밝혔다. 이는 계약 체결 후 즉시 이루어진 신속한 공급으로, 유럽 시장에서의 높은 수요를 반영한다. 최수봉 수일개발 CEO(건국대 명예교수)는 "세계 최초로 휴대용 인슐린펌프를 개발한 우리의 기술력과 다이아벨루프의 혁신적인 AI 기술이 만나 글로벌시장에서 큰 성과를 거두게 되어 매우 기쁘다"라
▲폐바이알 업사이클링 ‘뷰티업 캠페인’ 포스터 한국애브비(대표 강소영)가 폐바이알 업사이클링 ‘뷰티업 캠페인’에 업사이클링 전문 작가 4인을 섭외하고, 오는 9월 개최 예정인 ‘Beauty inNATURAL’ 전시회를 위한 본격적인 작품 제작 협업을 시작한다고 밝혔다. 올해 2회차를 맞은 뷰티업 캠페인은 다 쓰고 버려지는 빈 바이알을 업사이클링해 예술 작품으로 만들고 판매 수익금 기부로 연계하는 연간 캠페인이다. 지난 2월, 캠페인 시작 이후 현재까지 100여 곳의 병의원과 의료진들의 적극적인 참여가 이루어졌다. 참여 병원이 대폭 증가함에 따라 캠페인 참여 작가진을 총 4인으로 확대했다. 작년 캠페인에 참여했던 ‘엄아롱’, ‘이창진’ 작가를 비롯해 ‘박안식’, ‘신예진’ 작가가 새롭게 캠페인에 동참했다. 4명의 작가는 ‘자연(Nature)’을 주제로 30점의 예술 작품을 제작할 예정이다. 올해 처음 캠페인에 참여한 박안식 작가는 폐자전거 바퀴, 금속, 아크릴 등 버려진 재료를 활용하여 자연과 인공의 경계를 넘나드는 조형 예술을 선보여 왔다. 신예진 작가 역시 폐기물을 주로 활용하며, 환경 문제에 대한 깊은 통찰과 예술적 감성을 결합한 작품을 선보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