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급의학과 전문의 66명중 64명이 한방진료 관련 부작용 사례 치료 경험
응답자 중 11명은 50건 이상 부작용 사례 경험
□ 대한의사협회(회장 추무진)는 최근 논란이 되고 있는 한의사에게 현대 의료기기 사용을 허용하려는 정부의 보건의료 기요틴 정책과 관련하여 응급실에 내원한 환자 중 한방진료로 인한 부작용 사례 분석을 진행한 결과, 응답자 66명 중 97%에 이르는 64명이 응급실에서 한방진료 관련 부작용 사례 환자를 치료한 경험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고 밝혔다.
○ 이번 설문조사는 전국의 대한응급의학회 회원을 대상으로 2015. 3. 25~3. 31 동안 이메일을 통한 설문조사로 진행되었으며, 응급의학과 의사로 근무한 연수, 한방진료 관련 부작용 사례 치료한 경험 여부, 3. 한방진료 관련 부작용 경험 횟수, 4. 부작용
과 관련된 한방치료 종류, 5. 부작용 중증도 현황, 6. 부작용 구체적 사례의 조사항목으로 구성되었다.
□ 우선 “응급의학과 의사로 근무하면서 한방진료 관련 부작용 사례를 치료한 경험이 있습니까?”라는 항목에 응답자의 97%인 64명이 있다고 답했으며, 오직 2명만이 없다고 답한 것으로 드러났다.
○ 심지어 “한방진료 관련 부작용 사례를 몇 건이나 경험하셨습니까?”라는 항목에 대해 10건 미만의 사례를 경험했다는 응답자가 18명(29%), 10건에서 50건 미만 사례 경험은 33명(53.2%) 50건 이상 사례를 경험한 응답자는 11명(17.7%)으로 한방진료 관련 부작용이 매우 빈번한 것으로 나타났다.
○ 부작용과 관련된 한방치료의 종류(중복응답 허용)로는 ‘침’으로 인한 부작용이 가장 많았으며(60명), 그 뒤를 이어 한약(57명), 약침/봉침(37명), 뜸(29명)이었으며 현대 의료기기 사용으로 인한 피해 사례도 10명의 응답자가 경험해 본 것으로 나타났다.
○ 무엇보다 부작용에 따른 중증도를 조사한 결과(중복응답 허용)에 따르면 한방진료로 인한 부작용으로 사망에 이른 사례가 무려 21건으로 나타나 부작용의 정도가 매우 심한 것을 알 수 있다. 경증 사례는 38건, 중증도 사례는 54건, 중증 사례는 43건에 이른다.
○ 한방진료로 인한 부작용 사례(중복응답 허용)는 손상이 62건으로 가장 빈번했으며, 독성 56건, 미진단 보류 46건, 감염 36건, 과민반응 23건으로 나타났다.
□ 의협은 이번 설문조사에서는 부작용의 구체적 사례도 수집하였는데, 이들 부작용 사례에 따르면 침으로 인한 기흉, 뜸으로 인
한 화상은 비일비재하며 이 외에도 장침이나 대침을 맞고 사망하거나 한약재를 복용하다가 심정지로 사망하는 심각한 경우도 발생하는 것으로 드러났다고 밝혔다.
□ 의협 신현영 홍보이사 겸 대변인은 “이번 설문조사는 한방진료로 인해 국민의 건강과 안전에 미치는 부작용이 심각하다는 사실을 증명해주는 결과”라며,
○ “한의계는 부디 한의사로서의 본분에 충실하고 한의학의 내실을 다져 국민들의 건강에 위해를 입히지 않도록 노력하고, 한의학의 학문적 배경과 작용원리가 상이한 현대 의료기기 사용을 탐하려는 시도를 즉각 멈춰줄 것”을 요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