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신경정신의학회는 2015년 4월 4일 ‘정신 건강의 날’을 맞아 ‘국민정신건강과 행복‘에 대한 조사를 시행하고 결과를 발표했다. 대한신경정신의학화가 개발한 문항으로 조사전문기관 마크로밀엠브레인이 수행한
<정신건강과 행복 조사>는 서울 및 6대 광역시에 거주하는 만 20~59세 남/여 1,000명 을 대상으로 하였다. (신뢰수준 95%(±3.1%))
정신건강과 행복간의 상관관계 -‘건강
상태’, ‘우울증’ 순으로 크게 영향
조사 결과 본인이 행복하다고 느끼는 사람은 64%로서, 36% 정도는 행복하지 않다고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대상자 중 삼분의 일 정도가 우울, 불안, 분노와 같은 정서적 문제를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난 바, 28%가 우울증이 의심되었고, 21%가 불안장애가 의심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분노조절장애가 의심되어 전문가와 상담이 필요한 대상자도 11%였다.
행복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두 가지 요소는 건강상태에 대한 인식과 우울증상이었으며, 이외에도 다양한 요인들이 행복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상태에
대한 긍정적 인식과 결혼은 행복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고, 우울증 점수, 분노 조절장애 점수, 스트레스 정도는 행복에 유의하게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나 행복을 위해셔는 정신건강 관리에도 노력해야 함을 보여주고 있다.
가장 상담 받고 싶은 정신건강 문제는 우울증
또한 조사 대상자 중
42 %가 일생 중 한 번 이상 정신건강의학과 의사에게 상담이나 치료를 받고 싶은 문제가 있었다고 하였다. 정신건강의학과를 방문하여 상담 받고 싶은 문제로는 우울증(44%)이
가장 많았고, 우울증으로 실제 치료를 받은 대상자 중 70% 가
증상 호전을 경험하였다.
연령에 따라 우울증의 증상에 차이
우울증 하면 떠올리는 증상은 기분 저하, 흥미 상실 등이 각각 83%, 79% 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집중력 저하, 결정장애, 건망증과 같은 인지기능 저하 증상이 51.6%로 나타났으며 전체
응답자의 56%가 스스로 우울증인가를 의심해 본 경험이 있었다,
연령에 따라 20~30대의 경우 일상생활에 흥미 상실, 40대는 수면장애/불면증과 이유 없이 우는 현상, 50대는 인지장애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행복을 위해 정신건강의 관리가 중요
대한신경정신의학회 김영훈 이사장은 “이번 조사는 정신건강의 문제가 국민 행복과 직결된다는 결과를 보여준 것에 의미가 있다”고
하였으며 “이미 UN 에서도 제프리 삭스 교수가 주관한 세계 행복조사를 통해 정신건강의 문제가 불행의
큰 원인이 됨을 지적하면서 세계 각국의 지도자들이 경제 발전은 물론 정신건강 문제의 해결을 위해서도 적극적인 노력을 기울여야 함을 역설한 바 있다”고
덧붙였다.
한편 대한신경정신의학회는 정신건강에 대한 인식개선과
국민지식 수준 향상을 위해 다양한 행사를 개최한다.
서울 마포아트홀(1~12일), 강남구민회관(19~22일), 강서문화원(24~30일) 등 서울 지역에서는
'나를 찾는 행복상자' 라는 주제로 정신건강 특별전이 열린다. 또한 정신건강에 관한 체험, 강연 및 정신건강의학과 의사 무료 상담이
제공되는 정신건강 박람횡가 광주 김대중 컨벤션 센터(4월 15일), 부산 벡스코(4월 17 – 18일), 대구 엑스코(4월 21일)에서 개최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