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동두천 2.2℃흐림
  • 강릉 2.0℃흐림
  • 서울 3.6℃구름조금
  • 대전 5.0℃흐림
  • 대구 4.4℃흐림
  • 울산 4.7℃
  • 광주 4.4℃맑음
  • 부산 5.4℃구름많음
  • 고창 1.3℃맑음
  • 제주 7.8℃맑음
  • 강화 2.1℃맑음
  • 보은 4.1℃흐림
  • 금산 4.7℃흐림
  • 강진군 2.0℃맑음
  • 경주시 4.1℃흐림
  • 거제 6.4℃흐림
기상청 제공
회원가입

제 1형 당뇨병환자 대상 란투스®와 디글루덱의 임상 비교 메타분석 결과 발표

란투스®, 당뇨관리에 있어 중요한 지표인 당화혈색소 수치에서 디글루덱 대비 개선 경향 보여
공복혈당 감소 효과에 있어서는 디글루덱이 수치적으로 개선 경향 나타내



글로벌 헬스케어 기업 사노피 그룹의 국내 지사인 주식회사 사노피-아벤티스 코리아(이하 “사노피”)는 제 1형 당뇨병 환자 대상, 자사의 기저인슐린 란투스®(성분명: 인슐린 글라진)와 타사의 기저인슐린 디글루덱의 임상결과를 비교한 메타분석 결과를 공개 했다. 

지난 2월 이탈리아 밀라노에서 열린 제 9회 당뇨병치료기술학회(Advanced Technologies & Treatments for Diabetes, ATTD)에서 선(先)발표된 바 있는 이번 분석 결과에 따르면, 란투스®는 디글루덱 대비 당화혈색소(HbA1c) 수치를 0.12%(차이: 0.12; 95% 신뢰구간: 0.03~0.20) 더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나 디글루덱 대비 당화혈색소 수치 개선 효과를 보였다. 반면, 공복혈당(FPG)에서는 디글루덱이 란투스® 대비 0.7mmol/L 더 감소(-0.70; -1.33~-0.07)시키며 수치적으로 더 우수한 경향을 보였다. 확인된 저혈당(<56mg/dL;야간,24시간, 중증) 발생률은 시험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1


사노피 당뇨순환기 사업부를 총괄하는 이윤경 GM은 당뇨병에서 당화혈색소 수치관리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 “영국의 전향적인 연구에서 당화혈색소가 1% 감소할 때마다 당뇨병 사망 위험이 21%감소하고, 심장마비는 14%, 신부전증이나 망막병증과 같은 미세혈관 합병증은 37%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2”며, “이번 결과를 통해 란투스®의 우수한 당화혈색소 강하 효과를 다시 한 번 확인할 수 있어 고무적이며, 소아나 비교적 젊은 연령에서 발생하는 제 1형 당뇨병에서 란투스®가 환자들에게 지속적으로 긍정적인 치료경험을 제공할 것”이라고 밝혔다.


란투스®의 성분인 ‘인슐린 글라진’은 장기간 심혈관계 안전성을 확인한 결과를 가지고 있다. 총 6.2년동안 40개국의 1만2500명 환자 대상, 최장, 최대 규모로 진행된 오리진(ORIGIN) 임상 연구에서 ‘인슐린 글라진’은 표준요법군과 비교해 심혈관계 사건 발생률에 긍정적 또는 부정적 영향을 주지 않았다.3


한편 사노피는 란투스®와 동일한 ‘인슐린 글라진’ 성분의 차세대 기저인슐린 투제오®를 보유하고 있다. 투제오®는 란투스®와 대등한 혈당 조절 효과를 보이면서, 야간의 확인된 또는 중증 저혈당은 란투스® 대비 48% 감소했고, 확인된 저혈당 또는 중증 저혈당은 란투스® 대비 23% 감소 시켰으며4, 지난 해 11월 급여 출시돼 란투스®와 인슐린 단위당 동일한 가격으로 처방 받을 수 있다. 



References

1. Geremia Bolli et al. Insulin Degludec Versus Insulin Glargine 100u/ml : Outcomes of a Trial-level Meta-analysis in Patients with Type1 Diabetes, Diabetes Technology & Therapeutics, Volume 18, Supplement 1, 2016, DOI: 10.1089/dia.2016.2525

2. Association of glycaemia with macrovascular and microvascular complications of type 2 diabetes (UKPDS 35) : prospective observational study, BMJ. 2000 Aug 12 ; 321(7258) :405-412.

3. Gerstein HC et al. New Eng J Med 2012;367:319-328.

4. Yki-jarvinen et al. Diabetes Care. 2014;37:3235-3243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배너


뉴스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